배우 박규영/ 사진제공=넷플릭스

(서울=뉴스1) 안태현 기자 = 지난달 27일 시즌3 6회가 전편 공개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이 다시 한번 전 세계에서 신드롬급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넷플릭스가 지난 6월 23일부터 29일까지 이용자들의 시청수를 조사해 발표하는 전 세계 비영어권 TV쇼 주간차트 부문에서 '오징어 게임' 시즌3(이하 '오징어 게임3')는 6010만 시청수를 기록하면서 1위에 올랐으며, 시청 시간은 무려 3억 6840만 시간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오징어 게임3'는 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참가한 게임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고 만 기훈(이정재 분)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이병헌 분), 그리고 그 잔인한 게임 속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린 이야기로, 지난 2021년 9부작으로 공개된 시즌1과 2024년 공개된 7부작 시즌2를 잇는 시리즈의 피날레다.


배우 박규영은 극 중 게임의 주최 측 진행 요원인 탈북자 강노을 역을 연기했다. 북한에 두고 온 딸을 찾기 위해 돈을 벌어야 하는 노을은 아픈 딸의 치료비를 위해 게임에 참가한 박경석(이진욱 분)에게 동질감을 느끼며, 그를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인물이다.

'오징어 게임3'의 글로벌 흥행 속 박규영은 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취재진을 만나 공개 기념 인터뷰를 가졌다. 그가 풀어놓는 노을 캐릭터와 '오징어 게임3'의 뒷이야기를 들어봤다.


배우 박규영/ 사진제공=넷플릭스

<【N인터뷰】 ②에 이어 >

-경석을 살리려고 고군분투하는 노을의 감정을 어떻게 이해하려 했나.

▶그 부분에 대해서 말씀드리고 싶은 건 경석에 대한 구출만이 노을이 가진 의도의 다가 아니었다. 경석은 자기와 같이 딸을 잃을 수 있는 위기에 처한 인물이다. 노을도 딸을 잃어버렸고, 그 딸을 되찾고자 하는 의지가 가장 강했던 인물이었다. 경석을 구함으로서 경석의 딸을 구할 수 있다는 것에서 자신의 상황을 투영했다고 생각한다. 경석이라는 한 인물을 살리려는 것보다는 자신이 잃어버린 딸에 대한 감정의 동기화로 노을의 서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이해해 주셨으면 한다.


-딸에 대한 모성애가 강한 인물인데, 실제로 아이가 없으니 이 모성애를 어떻게 몰입하려 했나.

▶어쨌든 혈육이니 가족으로 생각했다. 아이를 가져본 적 없지만 실제 박규영에게도 가장 0순위는 가족이다. 가족은 영혼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해서 가장 소중한 것을 상실한 사람은 어떤 마음일까 생각하면서 연기했다. 시즌2에서 설명된 노을의 서사들에 감독님이 이입이 되게 환경을 만들어주신 것도 있는 것 컸다.


-희망이 없는 노을을 표현하기 위해 노력한 점이 있나.

▶우선 노을은 정말 희망이 꺼져가는 어떠한 삶의 의지나 동기가 없는 인물이다. 그게 물론 다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그간 겪은 서사들이 노을에게는 자신의 감정조차 표현하지 않는 인물로 만들었다고 본다. 감독님께서는 그런 인물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어떤 시선의 변화라든지 목소리조차 큰 목소리를 낼 수 없는 인물일 거라며 최대한 목소리를 낮게, 억양조차 드러나지 않는 기계적인 인물로 표현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하셨다. 그래서 저도 그런 면을 살리면서 연기했다.

-너무 낮은 톤 때문에 대사가 너무 안 들려 연기에 혹평도 있었는데.

▶시청자분들이 어떻게 봐주시냐는 시청자분들의 자유로운 의견의 영역인 것 같다. 제가 억울한 건 없었다. 캐릭터를 설정함에 있어서 만들어진 것이고, 안 들린다는 피드백이 있으면 정말 죄송하지만 다음 기회에 보완해서 잘 해봐야 하는 거다. 어떠한 피드백이 있다면 연기자로서 수용해야 할 부분은 수용해야 하는 지점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