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재 "배우 고액 출연료? 누구 하나 문제만은 아냐"[N인터뷰]③
뉴스1 제공
공유하기


(서울=뉴스1) 윤효정 기자
* 드라마의 스포일러를 다수 포함하고 있습니다.
배우 이정재가 배우들의 고액 출연료 논란에 대해 "뭐라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시즌3'(극본/연출 황동혁) 주인공 이정재는 3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취재진과 만나 인터뷰를 가졌다.
'오징어 게임3'는 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참가한 게임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고 만 기훈(이정재 분)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이병헌 분), 그리고 그 잔인한 게임 속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린 이야기다. 지난 2021년 9부작 시즌1, 2024년 7부작 시즌2에 이어 지난 6월 27일 시즌3 6회 전편을 공개했다.
이정재는 주인공 성기훈을 연기해 극을 이끌었다. 시즌1에서 한심한 루저의 모습으로 게임에 참가한 기훈은 시즌2에서 우승 후 오징어 게임을 파괴하기 위해 다시 게임장에 들어선다. 쿠데타에 실패한 뒤의 이야기가 그려진 시즌3에서 오징어 게임이 경시하는 생명과 인간성에 대한 의미를 되새기는 역할을 하며 퇴장했다.
<【N인터뷰】②에 이어>
-'오징어 게임' 전후 가장 달라진 것은.
▶작품이 큰 성공을 했지만 그렇다고 (배우가) 성공만 바라고 일할 수는 없지 않나. 오래 일을 했지만, 성공한 작품도 있고 그렇지 못한 작품도 있다. 배우는 작품에 충실해야 하고 어떻게 더 노력해야 하나 이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 '얄미운 사랑'도 찍고 있지만, 여전히 이 작품을 어떻게 더 재미있게 만들어볼지 생각하고 있다. '오징어 게임' 성공으로 (해외에서) 다양한 한국 콘텐츠를 보는 계기가 된 것 같다. 이 문이 좁아지지 않도록 더 잘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하고 그러길 바란다. 최근 국내 영화 시장이 너무 안타깝게 위축되지 않았나. 예전같이 더 활발하게 만들 수 없을까, 더 한국 작품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이 더 없을까 고민하고 있다. 기대와 바람이 커졌다. 더 성공하고 더 잘 되길 바라는 것보다 해외에 알려지게 된 한국 콘텐츠가 꾸준하게 알려졌으면 하는 바람 기대가 있다.
-제작자이자 배우다. 콘텐츠의 위기 원인으로 배우 출연료가 높은 것이 꼽힌다. 이에 대한 생각은.
▶(출연료가) 적절한지에 대한 이야기는 예전부터 있었다. 방송사가 일정 부분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선을 만들어보자고 해서 몇 년간 유지된 적도 있다. 그런 과정이 (출연료가) 눌러지기도 하고 올라가기도 하고 그런 일이 많이 있었다. 모두 적정선을 찾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것 때문에 콘텐츠 산업이 뒤로 가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뭐라 말하기 어렵다. 누구 하나 때문이라고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 맞물려 있어서 쉽지 않다. 개선된, 새로운 방안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한다.
-'오징어 게임' 중 제일 어려웠던 게임은.
▶시즌1 때 유리 징검다리였다. 안전유리니까 안전하겠지만, 왠지 깨질 것 같더라. 2.5미터 이상 높이에서 찍었다. 긴장하는 연기를 하면 땀이 난다. 발바닥에 땀이 너무 나서 미끄러웠다.
-가장 큰 빌런은 누구인가.
▶게임을 만든 사람이 아닐까.
-아기 모형을 안고 연기했는데.
▶(실제 아기와) 똑같이 만들었다. 무게나 표정, 몸을 (아기와) 똑같이 만들어서 처음에는 섬뜩했다. 일주일 지나니까 정이 붙어서 이상한 감정이 들더라.
-'오징어 게임'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시작과 엔딩이 중요하지 않나. 이렇게 허무맹랑해 보이는 게임장 세계에 일반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게임을 하게 되는 과정을 공들여 찍었다. 자기 발로 그 세계에 갈 수밖에 없는 사연을 그렸다. 기훈이 게임장에 갈 수밖에 없었던 사연과 엔딩을 꼽고 싶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뉴스1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