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약금 면제 조치 시행 이후 SK텔레콤은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한 방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KT와 LG유플러스는 이를 '가입자 유치의 골든타임'으로 판단, 공격적인 마케팅에 속도를 내고 있다.사진은 7일 오전 방문한 서울 구로구 신도림 테크노마트의 모습. /사진=김성아 기자


7일 오전 서울 구로구 신도림 테크노마트 9층. 평일 오전인데도 휴대폰 매장들이 몰린 이곳은 사람들로 북적였다. "여기가 진짜 최저가예요", "가격 들어만 보고 가세요" 직접적인 가격 언급은 꺼렸지만 판매점 직원들은 스마트폰이나 계산기에 숫자를 찍어 보여주며 손님을 유혹했다. 제시된 금액은 대부분 이동통신사 공시지원금에 유통점이 별도로 제공하는 '추가지원금'이 더해진 가격이었다. 계산기 속 금액은 출고가의 10분의1 수준에 불과한 경우도 많았다.


이곳은 이른바 '휴대폰 성지'로 불린다. 매장 곳곳엔 '신도림 최저가', '사은품 최대', '박리다매' 등 현수막이 붙어 있었다. 일부 유통점은 이동통신 3사와 제조사로부터 지급받은 판매장려금을 활용해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단말 할인이나 사은품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은 소비자가 받을 수 있는 보조금 총액이 단통법에서 정한 상한(공시지원금 + 최대 15%의 추가지원금)을 초과할 경우 '불법 보조금'으로 간주돼 규제 대상이 된다.

이 같은 보조금 경쟁에 불을 지핀 것은 SK텔레콤의 대규모 유심 해킹 사고였다. 지난 4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이번 침해 사고는 SK텔레콤의 과실에 해당하며 이용자 위약금 면제가 가능하다"는 해석을 내놓자 SK텔레콤은 긴급 이사회를 열어 지난 4월18일부터 오는 14일까지 해지 또는 번호이동한 고객을 대상으로 위약금을 전면 면제키로 했다.


위약금 면제 조치 시행 이후 SK텔레콤은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한 방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반면 KT와 LG유플러스는 이를 '가입자 유치의 골든타임'으로 판단, 공격적인 마케팅에 속도를 높인다. 위약금 면제가 발표된 다음 날인 지난 5일 SK텔레콤은 3865명 순감한 반면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1886명, 1979명 순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부 유통점에서는"현재 통신사는 SK텔레콤이고 갤럭시 S25 울트라 구매를 원한다"고 밝히자 KT와 LG유플러스로 번호이동 시 월 11만원대 고가 요금제를 3개월 이상 유지하는 조건으로 70만~80만원대의 추가 지원금을 제시했다. LG유플러스로 이동할 경우 가장 높은 수준의 보조금이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갤럭시 S25 엣지 256GB 모델의 경우 KT와 LG유플러스의 공시지원금은 각각 50만원이었지만 LG유플러스 번호이동 고객은 현금 20만원에 단말기를 구입할 수 있다. 출고가(149만6000원)를 감안하면 약 80만원에 달하는 추가 보조금이 지급되는 셈이다.


일부 유통점에서는 이른바 '마이너스폰'도 등장했다. 갤럭시 S25 256GB 모델을 공짜로 개통해주는 데 그치지 않고 '차비' 명목으로 현금 10만원을 지급하겠다는 홍보가 이뤄졌다. "오늘 아니면 가격이 달라진다"는 식으로 구매를 유도하는 직원도 적지 않았다.

KT·LGU+, SKT 해킹 틈타 '공포 마케팅'에 '비방 마케팅'까지

보조금 경쟁뿐 아니라 '공포 마케팅'도 SK텔레콤 이탈 가입자 유치 수단으로 활용됐다. 사진은 7일 오전 방문한 서울 구로구 신도림 소재 KT 직영 대리점의 모습. /사진=김성아 기자


보조금 경쟁뿐 아니라 '공포 마케팅'과 '비방 마케팅'도 가입자 유치 수단으로 활용됐다. 이날 찾은 KT 공식 대리점은 "SK텔레콤 위약금 면제 확정! 쓰던 폰 그대로, 더 안전한 KT로 오세요"라는 문구를 내걸었다. LG유플러스 대리점도 "보안 1등, LG유플러스로 오세요"라는 문구를 전면에 내세우며 위약금 공백기를 틈탄 가입자 확보에 열을 올렸다.

한 통신사의 유통망 고객 대응 시나리오에는 보다 노골적인 문구도 포함돼 있었다. "SKT가 위약금 없이 보내주는 이유는 '우린 막을 수 없다'는 조용한 구조 신호" "해킹은 내 정보를 털기 시작해 결국 인생이 털린다" "가만히 있는 것이 가장 위험한 선택" 같은 문장들이 예시 멘트로 제시돼 있었다.
통신사들의 치열한 공방전 뒤편엔 SK텔레콤 이탈 고객을 잡아 통신 시장 재편에 대한 기대감이 자리한다. 사진은 서울 구로구 신도림 소재 LG 직영 대리점의 모습. /사진=김성아 기자


치열한 공방전 뒤편엔 통신 시장 재편에 대한 기대감이 자리한다. 이통시장은 2010년대 LTE·5G 등 차기 통신규격 보급과 단통법·알뜰폰(MVNO) 도입 등 신규제도 도입에도 점유율 변화가 더뎠다. 지난 4~6월 SKT가 기록한 60만명의 가입자 이탈은 국내에서 전례를 찾기 어려운 수준이다.


통신사들의 가입자 쟁탈전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오는 15일 갤럭시 Z 폴드7·플립7의 사전예약이 시작되면서 하반기 스마트폰 시장이 본격적인 경쟁 국면에 접어들기 때문이다. 각사는 신제품 출시 전까지 갤럭시 S25 등 기존 재고를 소진하는 동시에, 신규 수요를 선점하기 위한 마케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오는 22일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이 폐지되면서 보조금 규제까지 사실상 사라진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해킹 사고 여파로 인한 이탈 수요에 폴더블 폰 교체 수요, 단통법 종료가 겹치며 마케팅 경쟁이 더 거세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