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노동조합이 낙하산 인사가 반복될 경우 총력 투쟁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사진=KAI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노동조합이 강구영 사장의 후임 인선과 관련해 "구성원과 정서적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총력투쟁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KAI 노조는 7일 성명서를 통해 "강구영 사장의 사임 이후, 공석이 된 사장직 인선을 둘러싼 최근의 움직임에 대해 많은 우려를 가지고
있다"며 "이번 인선은 단순한 자리를 채우는 문제가 아니라 KAI의 정체성과 생존, 대한민국 항공우주산업의 기술 주권이 걸린 중대한 분기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KAI를 다시 정권의 입맛에 맞는 낙하산 인사에게 맡기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음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단호히 맞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구영 전 사장은 새 정부 출범 당일인 지난달 4일 KAI 대주주인 한국수출입은행을 방문해 사퇴 의사를 밝힌 뒤 지난 1일 조기 퇴임했다. 강 전 사장은 윤 전 대통령 대선캠프 출신으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도 인연이 깊어 취임 당시 낙하산 인사라는 지적을 받았다.

노조는 "최근 언론과 정치권을 통해 유력 인사로 거론되고 있는 이들 중 상당수가 내부 구성원들의 공감을 받을 수 없는 낙하산"이라고 반발했다.


류광수 전 KAI 부사장에 대해선 재직 당시 KF-21 공식 행사장에서 무기업체인 타우러스를 홍보해 논란을 일으켰고, 퇴직 이후 한화로 이직해 기술·인력 유출의 통로 역할을 했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한화 측 인사 담당자들이 이직 제안 과정에서 류 전 부사장의 이름을 언급한 사례가 여러 차례 확인됐다"며 "이런 인물이 다시 사장으로 복귀하는 것은 KAI를 외부 자본에 종속시키고 기술 주권을 무너뜨리는 길"이라고 했다. 이어 "류광수의 복귀 시도를 반드시 저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다른 후보인 강은호 전 방위사업청장은 공공기관 수장으로서 기본 자질조차 갖추지 못한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노조는 "재임 시절 업무추진비 허위 기재, 기자들과의 부적절한 술자리 논란으로 고발된 전력이 있으며 이미 사회적 신뢰를 상실했다"고 비판했다.

문승욱 전 산업부 장관에 대해선 우호적인 평가를 내렸다. 고정익 항공기 분야에 대한 직접적인 실무 경험은 부족하지만 산업부와 방위사업청에서의 공직 경험, 경남도 경제부지사 및 산업부 장관을 역임한 이력은 긍정적이라는 입장이다.

노조는 "정치 인맥, 구시대 사조직, 퇴직 낙하산 세력의 연합으로 회사가 어떻게 망가졌는지 경험했고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며 "검증 없는 낙하산 인사가 강행된다면 즉시 총력 투쟁에 돌입하겠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