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전기차 시대, 보급 넘어 상업화 정책으로 전환해야"
e모빌리티엑스포 개막… 전문가 "각 분야 컨트롤 할 범정부 차원 공조체계 구축도 필요"
제주=김창성 기자
공유하기
![]() |
전기자동차시대 전환기에 보급정책 보단 상업화 정책을 구축하고 안전을 비롯한 각 분야를 컨트롤 해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범정부 차원의 공조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전문가 진단이 나왔다.
9일 제주 신화월드에서 개막한 '제12회 국제 e모빌리티엑스포'(IEVE 2025) 현장에서 만난 이광범 법무법인 세종 고문(전 KATRI 부원장), 최영석 원주한라대 미래모빌리티공학과 교수(차지인 대표)는 이 같이 설명했다.
이 고문은 전기차 화재에 대한 내용으로 서두를 열었다. 이 고문은 "국내에서 하루 최소 15건의 자동차 화재가 발생된다"며 "하지만 자동차는 모든 게 가연성 물질로 구성돼 있어 초기 진압이 안 되면 전소되기 때문에 화재원인을 찾기 힘들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요즘은 자동차의 정보가 외부로 전송되는 커넥티드카 시대라 차에 문제가 생기면 외부로 전송되는 정보 등을 토대로 화재원인 등을 조사해 나간다"며 "지난해 인천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된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 화재를 계기로 전기차 화재의 위험성을 다시금 살펴보게 하는 계기가 됐다"고 짚었다.
최 교수도 비슷한 생각이다. 최 교수는 "전기차 화재에 대해 정확한 통계가 잡힌 건 없지만 BMS(배터리관리시스템)를 주차 중에도 활성화 되도록 하고 운행 중인 차에 이상이 있으면 정비센터로 차를 불러들이는 예방차원의 대응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같은 조치로 현장에서 화재 발생이 줄어든 건 맞다"며 "제조사들도 이런 화재 대응에 적극 나서야하겠다는 분위기가 최근 조성됐다"고 덧붙였다.
최 교수는 전기차 화재 발생시 명확한 원인 규명과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하게 위한 범정부 차원의 조직 체계도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 교수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 중에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된 건물·화재 전기차·충전인프라까지 사고가 복합적으로 얽혀 있어 어느 한 정부 조직에서 모든 걸 감당할 수 없다.
최 교수는 "차의 이상 유무는 제조사가 갖고 있고 건물 화재, 충전기 문제 등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등 관련 유관기관과도 유기적으로 공조가 돼야 한다"며 "이 가튼 복합적인 문제를 조율하고 책임을 질 수 있는 유기적인 범정부 협업 조직이 갖춰져야 문제 발생시 원활한 사고 대응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두 전문가는 국내 전기차 시대 전환기에 이제는 10년 전 세워진 보급 정책에 머물지 말고 상업화를 위한 전략을 마련해야 미래 모빌리티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고문은 "이제는 전기차 보급화 단계를 넘어 상업화 단계에 이르렀다"며 "아직 한국은 상업용 충전소가 거의 없다. 이게 더 활성화 돼야 공동주택 충전소 설치 불만, 안전 우려 등의 문제가 해결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최 교수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본질은 충전을 위한 전력 설비와 충전소를 설치할 공간"이라며 "공동주택의 전기차 충전소 설치 불만·안전 우려 등의 문제를 앞으로 어떻게 해결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하는 것이 상업화의 첫걸음"이라고 짚었다.
이어 "현재 전기차 충전소는 공동주택이나 고속도로 휴게소 위주로 설치돼 있다"며 "앞으로는 기존 주유소 자리에 전기차 충전소가 들어가는 상업화로 가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제주=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