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건 국립극장장 "새 시즌 총 72편…눈여겨볼 공연은 '이것'"(종합)
9일 '2025-2026 국립극장 레퍼토리 시즌' 간담회
새 시즌, 오는 8월 20일부터 내년 6월 28일까지
뉴스1 제공
공유하기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2025-2026 시즌은 지난 시즌보다 작품 편수가 늘었고, 공연의 퀄리티도 높이기 위해 애썼습니다. 새 시즌에 특히 눈여겨볼 작품은 '창작중심 세계음악극축제'와 '2025 대한민국 전통춤 축제'입니다."
박인건 국립극장장은 9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오는 8월 20일부터 내년 6월 28일까지 선보일 '2025-2026 국립극장 레퍼토리 시즌' 프로그램을 공개했다. 국립극장은 2012년부터 1년 단위 공연 프로그램을 미리 기획해 공개하는 레퍼토리 시즌을 운영해 왔다. 이 자리에는 박인건 국립극장장, 박정희 국립극단장, 송승환 배우 등이 참석했다.
박 극장장은 "313일간 신작 25편, 레퍼토리 15편, 상설공연 14편, 공동주최 18편 등 총 72편의 작품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국립극장은 2025-2026 시즌의 슬로건을 '함께, 더 멀리'로 정하고, 동시대 예술과 더욱 활발하게 소통하는 극장으로 나아간다. '창작중심 세계음악극축제'가 대표적이다. 한·중·일 동아시아 3개국의 전통 기반 음악극을 한자리에 모은 축제로, 오는 9월 3~28일 열린다.
'2025 대한민국 전통춤 축제'도 주목할 만한 공연. 국립무용단을 중심으로 전국 10개 국공립 및 지역 무용단이 함께 꾸미는 한국무용 축제다. 전통 기반 공연예술의 구심점으로서 국립극장의 역할을 더욱 공고히 하고자 마련됐다.

'심청'부터 AI 작곡 기술 활용한 '공존'까지
전속 3단체는 이번 시즌에 여러 신작을 선보인다.
국립창극단은 오페라 연출가 요나 김과 손잡고 신작 '심청'을 선보인다. 판소리 '심청가'의 익숙한 서사를 뒤집고, '심청'을 사회적 약자의 상징으로 새롭게 그려낸다. 이외에도 '효명'을 내년 6월 해오름극장 무대에 올린다. 조선 제23대 왕 순조의 아들이자 조선 후기 궁중무용 정재를 집대성한 효명세자의 이야기를 다룬다.
국립무용단은 '귀향'(歸鄕)을 준비했다. 현대사회에서 가족과 어머니의 의미를 되새기는 공연이다. 되돌아갈 수 없는 어머니의 젊은 시절에 대한 그리움과 회한을 몸짓으로 풀어낸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은 인문학 콘서트 '공존'(Survive)을 통해 인공지능(AI)과 예술과의 공존 가능성을 실험한다. AI 작곡 기술을 활용한 창작 집단 '포자랩스'와 협업해, AI 기술의 발달과 창작의 의미에 얽힌 질문을 던진다. 또 내년 6월엔 '이병우와 국립국악관현악단'을 선보인다. 이병우는 영화 '왕의 남자' '관상' 등 여러 히트작의 음악을 만든 작곡가다.

"K-컬처의 저력은 기초예술에서 시작"
국공립 및 민간 예술단체와의 공동주최 공연도 확대된다. 국립극단은 어린이청소년극연구소의 '위험한 놀이터'(8월 28~31일)를 시작으로, 대표 레퍼토리 '조씨고아, 복수의 씨앗' 10주년 공연(11월 21~30일), '조광화의 신작(가제)'(내년 5월 22~31일) 등 총 세 편의 공연을 선보인다.
민간 예술단체와의 협업으로는 연극 '더 드레서'가 오는 12월 달오름극장에서 개막한다. 2차 세계대전 중 극장의 분장실을 배경으로 인간의 복잡한 내면과 관계를 깊이 있게 그려낸다. 한국 공연계의 산증인 배우 송승환이 주연으로 출연한다.
송승환은 이날 "새 시즌의 슬로건 대로, 저는 협업이 연극 발전에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며 "국립극장이 지닌 공공성과 민간 단체의 창의력이 만나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한다"고 했다.
박인건 국립극장장은 "케이(K)-컬처의 저력은 기초예술에서 시작한다"며 "새 시즌에서도 좋은 작품들이 많이 나와 세계로 뻗어나가길 바란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뉴스1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