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서울상황센터에서 열린 집중호우 대처상황 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뉴스1)


다사다난했던 인사청문회가 끝난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장관 임명을 두고 고심할 예정이다. 특히 각종 의혹으로 비판 여론이 높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인사청문회 일정이 모두 끝남에 따라 대통령실은 20일 이 대통령에게 초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 종합 보고를 진행한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전날 취재진에 공지를 통해 "인사청문회와 관련한 대통령실 내부 보고 및 관련 후속 논의는 내일(20일) 있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우상호 정무수석은 지난 18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인터뷰에서 "제기된 문제점 등 청문회에서 어떤 일들이 있었는지 종합 보고를 할 것"이라며 "대통령이 당면 현안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입장이나 지침을 주시면 저희는 그에 따라 움직일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 일각에서 임명 불가론이 제기된 강선우·이진숙 후보자의 지명철회 또는 자진사퇴 등 거취 문제가 주말 중에 결론이 나는지를 묻자 "그렇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의 고심이 더 길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여권 안팎에서는 시간을 더 끌 경우 논란이 더 확산하고 자칫 국정 동력까지 약화할 수 있어 결정을 늦출 순 없다는 시각이 많다.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선 최소 1명 낙마는 불가피한 것 아니냐는 기류가 감지되지만 이 대통령은 아직 두 후보자의 거취 문제에 대해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는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과 대통령실 안에선 두 후보자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증가한 것은 부담이나 제기된 의혹들이 낙마할 정도의 중대한 결격사유인지 판단이 필요하다는 분위기다.

논문 표절 의혹과 자녀 조기 유학 논란에 휩싸인 이 후보자의 경우 민주당 안에선 청문회 과정에서 일부 소명이 이뤄졌다는 평가가 우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