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모빌리티 핵심은 '개인화'… 기아, PV5로 승부
전용 플랫폼 'E-GMP.S'로 실내 공간 극대화… 최대 16종까지 차체 조합
김이재 기자
공유하기
![]() |
기아가 브랜드 최초 중형 PBV(목적기반차량) '더 기아 PV5(PV5)의 개발 과정과 핵심 기술을 공개했다.
기아는 지난 22일 경기도 광명시 '아이벡스 스튜디오'에서 '더 기아 PV5 테크 데이' 행사를 열고 PV5의 상품성과 실사용자 중심의 기술 혁신 사례를 소개했다.
주석하 MSV프로젝트3실 상무는 "자동차 산업은 대량 양산 체계에서 이윤을 추구하지만, 커스터마이징이 되는 모빌리티에 대한 니즈도 커지고 있다"며 "기아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제품 개발부터 생산 체계 구축에 힘써왔다"고 말했다.
PV5는 기아 최초의 전동화 전용 PBV로 패밀리카부터 캠핑카, 업무용 차량까지 다양한 용도에 맞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유연하게 확장되는 실용성을 갖췄다.
기아는 PV5에 'PBV 전용 신상품 개발 프로세스'를 최초로 적용해 차량 개발 초기 단계부터 고객의 목소리를 반영했다. 1000여 개에 달하는 사용자 시나리오를 수립한 뒤 관련 법규와 통계 자료를 면밀히 검토, 공공기관과 지자체 담당자가 참여하는 검증 과정을 거쳤다.
PV5 패신저 모델의 시트 배열은 ▲2-3-0 ▲1-2-2 ▲2-2-3 등이며 카고는 ▲컴팩트 ▲롱 ▲하이루프 등 세 가지 모델로 운영된다.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는 설계로 이동, 운송, 레저 등 고객의 다양한 일상과 비즈니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 |
PV5에 적용된 PBV 전용 전동화 플랫폼 'E-GMP.S'는 차세대 개발 체계인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를 기반으로 한다. IMA는 주요 부품과 시스템을 모듈 단위로 표준화해 개발 효율성과 상품 경쟁력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E-GMP.S는 표준화된 언더바디, 구동 시스템, 서스펜션 등으로 구성된 공용 드라이브 모듈 위에 용도에 따라 다양한 라이프 모듈을 유연하게 조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플렉시블 바디 시스템'이 함께 적용돼 레고 블록처럼 조립하는 차량의 생산 개념을 구현했다. 해당 시스템은 차체, 도어·테일게이트 등 무빙 부품, 외장과 내장의 주요 부품을 모듈화하는 PBV 특화 기술이다.
PV5는 전면부와 1열 구조를 전 모델에 공통 적용, 1열 이후 구조는 리어 오버행, 테일게이트, 쿼터 글라스 등을 모듈 단위로 구성해 최대 16종의 바디를 유연하게 조합할 수 있는 체계를 갖췄다.
![]() |
기아는 지난달 계약을 시작한 ▲패신저(롱) ▲카고 롱(3도어·4도어)을 비롯해 ▲카고 컴팩트(3도어·4도어) ▲카고 하이루프(3도어·4도어) 등 총 7종의 기본 바디를 우선 선보일 계획이다.
PV5는 전장 4495㎜(컴팩트), 4695㎜(롱·하이루프)로 ▲2995㎜의 긴 휠베이스 ▲운전석 전방 배치 ▲저상화 플로어 설계 등을 통해 대형 차급 수준의 실내 및 적재 공간을 제공한다.
트렁크 용량은 패신저 2-3-0 배열 기준 1330ℓ로 2열 시트 폴딩 시 최대 3615ℓ까지 확장된다. 카고 롱은 최대 4420ℓ, 하이루프는 최대 5165ℓ의 적재 용량을 제공한다.
기아는 오는 8월 PV5 패신저 2-3-0과 카고 롱 모델의 국내 고객 인도를 시작하고 4분기 유럽 출시를 기점으로 글로벌 시장에 PV5를 순차적으로 소개할 계획이다.
![]()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이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