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측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임명 수순이 진행되자 엄호 태세에 돌입했다. 사진은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한 강 후보자. /사진=뉴스1


이재명 대통령이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임명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이 여론 외풍을 막으며 본격적인 엄호 태세에 돌입했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강 후보자 임명을 위해 국회에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할 방침이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10일 이내로 기한을 정해 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한다. 기한 내에 보고서가 송달되지 않으면 그다음 날부터 임명할 수 있다.

소관 상임위원회인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의 위원장은 국민의힘의 이인선 의원이다. 이 위원장은 보고서가 재송부돼도 전체회의를 개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이 대통령은 재송부 기한을 소비한 후 강 후보자를 임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통령실을 비롯해 민주당은 여러 논란으로 곤욕을 치른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한 것으로 더는 인사 문제를 키우지 말 것을 국민의힘 측에 촉구하고 있다.

이 후보자를 자진 사퇴가 아닌 지명 철회로 낙마시켰다는 것은 이 대통령이 야당 요구를 일정 부분 수용했다는 논리다.


국민의힘 측에서는 여전히 강 후보자 임명을 반대하고 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전날 비대위 회의에서 "이 대통령이 기어이 강 후보자 임명을 강행하겠다고 선언했다"며 "국민 상식에 맞서 싸우겠다는 선전포고로 읽힌다"고 지적했다.

또 진보당 및 문재인 정부 당시 여성가족부 장관을 지낸 정영애 전 장관도 강 후보자의 갑질 의혹을 주장하며 임명 반대를 촉구하고 나섰다.


강 후보자에 대한 비판 여론이 계속되는 가운데 대통령실에서는 '임명 수순에 들어갔다'는 신호가 나오자 민주당도 절차에 협조하는 분위기를 끌어올리고 있다.

문진석 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인터뷰를 통해 "이 대통령이 강 후보자를 임명할 의지가 있다고 본다"며 "당내에서는 대통령의 임명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금 더 우세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여가위에서 강 후보자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이 어려울 경우 "여당만이라도 단독 처리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박상혁 수석대변인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의힘은 발목잡기 하지 말고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길 부탁한다"며 "강 후보자가 청문회 과정에서 사과했고 이젠 일하는 것으로 지켜봐 주고 평가받아야 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인사청문회를 통해 당사자가 (의혹에 대해) 해명했고 해명과 관련한 여론 추이가 있었을 것"이라며 "그걸 종합해 여야 원내대표 의견도 대통령이 직접 수렴해서 최종적으로 결단한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