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그룹 당기순이익 추이/그래픽=김은옥 기자


KB금융그룹이 올해 상반기 3조4000억원이 넘는 당기순이익을 달성했다. 지난 2023년 상반기 3조76억원을 뛰어넘는 실적이다.


24일 KB금융에 따르면 상반기 KB금융의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3.8% 증가한 3조4357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 당기순이익은 금리하락기에도 전년 대비 0.3% 소폭 늘어난 1조7384억원을 올렸다. 순수수료이익은 1조32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0.5% 늘면서 분기 기준 최초 1조원을 넘어섰다.

금리하락에 따른 이자수익 감소에도 전년도 주가연계증권(ELS) 충당부채 적립 영향이 소멸되고, 환율하락과 주가지수 상승 등으로 인해 비이자이익이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상반기 순이자이익은 6조368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했다. 2분기 그룹 순이자마진(NIM)은 1.96%, 은행 NIM은 1.73%를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 각각 0.05%포인트, 0.03%포인트 하락했다.

상반기 순수수료이익은 1조96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다. 카드 가맹점수수료 감소에도 은행 방카슈랑스 판매수수료와 증권 브로커리지 수수료가 늘고, 자산운용과 관리자산 매각에 따른 수수료 이익이 확대된 영향이다.


상반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3.03%, 총자산이익률(ROA)은 0.90%를 각각 기록했다. 상반기 그룹 ROE는 전년 동기 대비 2.23%포인트 개선됐다.

그룹의 6월말 기준 총자산은 780조6000억원, 관리자산(AUM)을 포함한 그룹 총자산은 1354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72%로 전 분기 대비 0.04%포인트 개선됐다. NPL 커버리지비율은 전 분기 대비 5.4%포인트 개선된 138.5%로 나타났다.


6월말 기준 그룹 보통주자본(CET1)비율과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각각 13.74%, 16.36%를 기록했다. 비용효율성 지표인 그룹 영업이익경비율(CIR)은 상반기 기준 36.9%로 나타났다. 2분기 그룹 CIR은 주식연계 보상비용 증가 등으로 전 분기 대비 3.3%p 상승한 38.6% 수준이다.

KB국민은행의 상반기 당기순이익은 2조18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17억원(45.3%) 급증했다. 2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1612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13.1%, 전년 동기 대비 4.0% 늘었다.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NIM 축소에도 전년도 ELS 충당부채 적립 영향 소멸과, 방카슈랑스판매수수료와 투자금융수수료 이익 확대 등이 반영됐다.

KB금융은 주당 920원의 현금배당과 8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발표했다. 자사주 매입·소각은 상반기말 기준 보통주자본(CET1)비율 13.5% 초과 자본을 하반기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한다.

나상록 KB금융 재무담당 상무는 "이번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 결정으로 올해 주주환원 규모가 총 3조100억원에 달한다"며 "최근 시장 컨센서스를 감안할 경우 역대 최고 수준의 총주주환원율을 시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