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관·여한구, 미 상무장관 만나 관세 협상… 제조업 협력 방안 제시
김인영 기자
공유하기
![]() |
관세 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 만나 한·미 제조업 협력 강화 방안을 포함한 관세 협상 타결방안을 논의했다.
25일 뉴스1에 따르면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지난 24일(이하 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 산업장관과 1시간20분 동안 회담을 진행했다. 김 장관은 이번 회담에서 조선·반도체·배터리 등 전략 제조업 분야에서 양국 협력 강화방안을 설명하고 이를 반영해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와 상호관세 완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하게 요청했다.
김 장관은 "우리 기업들이 경쟁국 대비 불리한 대우를 받지 않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며 "이번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달 1일 전까지 국익 극대화 관점에서 최선의 결과가 도출되도록 모든 역량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장관과 러트닉 장관은 다음달 1일 이전 상호 호혜적 타결방안을 도출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하고 조속한 시일 내 추가 협상을 진행하기로 했다.
아울러 김 장관은 지난 23일 오후 2시30분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과의 면담도 진행했다. 양측은 청정에너지·에너지안보 강화 등 한·미 에너지 협력 강화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향후 김 장관은 더그 버검 국가에너지위원장, 여 본부장은 그리어 USTR 대표, 그레그 애벗 텍사스 주지사와 개별 면담을 갖고 관세 협상 진전·에너지 분야 협력 방안을 추가 논의할 예정이다.
당초 25일로 예정됐던 '한미 2+2 장관급 회담'이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 일정 문제로 무산됐다. 이에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미국 출장이 연기되면서 김 장관은 현재 미국에 머무르는 최고위급 정부 대표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7일 한국에 25% 상호관세율을 설정하고 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다음달 1일까지로 연장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인영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디지털뉴스룸 김인영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