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우 부산시의원/사진=부산시의회


항노화바이오·첨단재생의료 산업을 부산시의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승우 부산시의원(국민의힘, 기장군2)은 29일 열린 부산시의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부산은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을 중심으로 첨단의료·바이오헬스 산업을 연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하다"며 특히 "2027년 본격 가동될 중입자가속기를 활용한 암 치료는 국가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는 선도기술"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줄기세포·세포유전자치료 등 첨단재생의료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수도권에 85% 이상이 집중된 세포처리시설의 불균형 문제와 공공시설의 수요 포화, 입주기업의 타지역 유출 현실을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이 의원은 중입자가속기를 활용한 방사선 치료와 첨단재생의료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투트랙 암 치료 시스템' 구축과 동부산권에 치료-실증-임상으로 이어지는 전주기 의료 기반 조성을 제안했다. 이 의원은 "이러한 기반이 조성된다면 고부가가치 바이오 산업의 지역 안착은 물론 청년층을 포함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지역경제의 비약적인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 의원은 "오는 8월 착수될 '부산시 항노화바이오산업 육성정책 수립 연구용역'은 이 분야의 방향성을 정립할 결정적 계기"라며 지역 병원·대학·기업의 기술력 기반 신약 개발 추진방안, 규제 완화와 제도 개선 로드맵 마련, 산·학·연·병 연계 거버넌스 구축과 연구개발(R&D) 인프라 확충 등 지역 바이오 생태계 조성 전략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세포·유전자치료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진전되는 반면 우리나라는 복합적 제약으로 인해 국내 기업과 환자 수요가 일본·중국 등 해외로 유출되고 있다"며 "이를 반전시키기 위한 전략 수립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고 청년이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첨단산업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항노화바이오·첨단재생의료 산업에 과감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며 "이번 노력이 부산의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어 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