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노화·바이오, 부산 미래산업 육성위한 전략 필요"
이승우 부산시의원, 5분 자유발언서 촉구
부산=김동기 기자
공유하기
항노화바이오·첨단재생의료 산업을 부산시의 미래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승우 부산시의원(국민의힘, 기장군2)은 29일 열린 부산시의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부산은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을 중심으로 첨단의료·바이오헬스 산업을 연계할 수 있는 잠재력이 충분하다"며 특히 "2027년 본격 가동될 중입자가속기를 활용한 암 치료는 국가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는 선도기술"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줄기세포·세포유전자치료 등 첨단재생의료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수도권에 85% 이상이 집중된 세포처리시설의 불균형 문제와 공공시설의 수요 포화, 입주기업의 타지역 유출 현실을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이 의원은 중입자가속기를 활용한 방사선 치료와 첨단재생의료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투트랙 암 치료 시스템' 구축과 동부산권에 치료-실증-임상으로 이어지는 전주기 의료 기반 조성을 제안했다. 이 의원은 "이러한 기반이 조성된다면 고부가가치 바이오 산업의 지역 안착은 물론 청년층을 포함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함께 지역경제의 비약적인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이 의원은 "오는 8월 착수될 '부산시 항노화바이오산업 육성정책 수립 연구용역'은 이 분야의 방향성을 정립할 결정적 계기"라며 지역 병원·대학·기업의 기술력 기반 신약 개발 추진방안, 규제 완화와 제도 개선 로드맵 마련, 산·학·연·병 연계 거버넌스 구축과 연구개발(R&D) 인프라 확충 등 지역 바이오 생태계 조성 전략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세포·유전자치료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진전되는 반면 우리나라는 복합적 제약으로 인해 국내 기업과 환자 수요가 일본·중국 등 해외로 유출되고 있다"며 "이를 반전시키기 위한 전략 수립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고 청년이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첨단산업도시로 나아가기 위해 항노화바이오·첨단재생의료 산업에 과감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며 "이번 노력이 부산의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어 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부산=김동기 기자
머니s 영남지사 김동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