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홍 전 이천시 공무원


흔히 이천을 '쌀과 반도체의 고장'이라 부른다. 불과 십여 년 전만 해도 쌀과 도자기, 온천의 고장이었던 이 작은 도시가 눈부신 변화를 맞고 있다. 변화의 중심에는 자랑스러운 기업, SK하이닉스가 있다.


지난해 SK하이닉스는 매출 66조원, 영업이익 23조원이라는 창사 이래 최대 실적을 경신하며 대한민국 경제의 기둥이 됐다. 세계 반도체 매출 4위, D램 부문 세계 1위라는 위업을 달성했다. SK하이닉스 이천 단지에는 협력사를 포함해 3만여 명의 가족이 터를 잡고 있으며, 지난 9년(2016년~2024년)간 이천시에 납부한 지방세만도 1조4000억원에 달한다.

이 위대한 성취를 바라보며, 필자는 SK하이닉스가 이천 땅에서 태동하게 된 어느 운명적인 날의 기억을 꺼내 보려 한다. 이 글은 결코 개인의 업적을 자랑하기 위함이 아니다. 법규의 벽 앞에서 '안된다'고 말하는 대신, '어떻게든 길을 찾아보자'고 마음먹었던 어느 계장과 말단 공무원의 긍정적인 생각이 이천의 미래, 나아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어떻게 바꾸었는지, 그 벅찬 이야기를 전하고 싶을 뿐이다.


시간을 거슬러 제가 이천군청의 최하위직 공장 인허가 담당자였던 1993년9월 어느 날. 당시 현대전자산업(주)의 총무과장이 절박한 심정으로 저를 찾아왔다. 그는 "공장을 더 지어야 하는데, 허가된 건축면적이 너무 작습니다. 증설할 방법이 없겠습니까"라고 물었다.

하지만 당시 법규는 냉혹한 벽과 같았다. 1983년7월부터 시행된 수도권정비계획법과 공업배치법은 이천과 같은 수도권 자연보전권역 내 공장 증설을 철저히 옭아매고 있었다. 현대전자는 법 시행 전 이미 법적 상한을 훨씬 초과하는 면적을 허가받았기에, 문자 그대로 '단 1평'의 부지나 건축면적도 늘릴 수 없는 절망적인 상황이었다. 법을 집행하는 공무원으로서 필자가 할 수 있는 대답은 "불가능합니다" 뿐이었다. 눈앞의 간절한 호소에 당혹감을 감출 수 없었다.


그때 필자와 당시 담당 계장은 머리를 맞대고 고민했다. 그리고 한 가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법이 부지면적과 공장건축면적을 묶었지만, 허가된 부지 안에서 공장건물 면적만 늘리는 건 어떨까'라는 생각은 한 줄기 희망의 빛과 같은 역발상이었다. 우리는 현대전자 측에 "상급 부처인 건설부에 직접 질의를 해보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몇 달 뒤 1994년 1월, 현대전자 총무과장은 상기된 얼굴로 다시 저를 찾아왔다. 그의 손에는 '가능하다'고 명시된 건설부의 회신문이 들려 있었다. 기적의 문이 열린 순간이었다. 저는 그에게 "이렇게 어려운 회신을 받아오셨으니, 눈앞의 증설만 보지 마십시오. 이천 공업지역의 용적률 300%까지 가능하니 앞으로 필요한 모든 미래의 면적을 담아 최대한으로 건축계획을 가져오십시오. 저희가 책임지고 처리해 드리겠습니다"고 말했다.


결국 기존 공장건축면적 51만7187㎡(15만6000여평)의 1.5배가 넘는 78만8693㎡(23만8000여 평)의 건축면적을 추가로 승인해 총 130만5880㎡(39만5000여평)확보로, 실로 거대한 증설 계획이 승인됐다. 바로 이 결정이 30년 후 대한민국 반도체 신화의 운명을 가를 위대한 씨앗이 될 줄은 당시엔 아무도 몰랐다.

만약 그때, 담당 공무원인 저희가 그저 법령만 내세워 '불가'라는 답변만 반복했다면 어떻게 됐을까? 훗날 SK가 하이닉스 인수를 검토할 때, 약 40만㎡의 M14 공장과 약 50만㎡의 M16 공장을 지을 수 있는 '미리 확보된 건축면적'이 없었다면 투자는 시작조차 할 수 없었을 것이다.

물론 그 과정이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2006년 하이닉스는 구리 성분 규제라는 또 다른 벽에 막혀 증설이 좌절될 뻔했다. 그러나 이천시민 1만여 명이 궐기대회를 열고 하루에 관광버스 100여대에 3000여명의 시민들이 동참하여 광화문 정부종합청사와 과천종합청사에 가서 정부를 상대로 시위하고, 이 과정에서 시민 1000여 명이 삭발 시위를 하는 등 3년간 눈물로 저항한 끝에야 겨우 길을 열 수 있었다.

이후 하이닉스가 매물로 나왔을 때, 인수를 검토하던 SK를 비롯한 대기업들은 마지막 확인을 위해 시청을 찾았다. 그리고 당시 기업지원과장이던 제게 물었다. 그들은 내게 "정말 여기에 남아 있는 건축계획면적으로 공장을 더 지을 수 있습니까"라고 물었다. 20년 전 말단 주무관 시절 제 손으로 심었던 그 희망의 씨앗을 떠올리며, 필자는 자신 있게 대답했다. "물론입니다. 증설할 수 있습니다."

돌이켜보면, 지역의 발전과 국가의 미래는 거창한 구호가 아닌, 최일선에서 묵묵히 일하는 공직자들의 마음가짐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느낀다. 부디 지금의 이천시 간부공직자들께서도 더 많은 기업을 유치하고, 지역 발전을 위해 민원 처리를 적극적으로 처리하는 동료들을 격려하고 지켜주시길 감히 부탁드린다.

또 SK하이닉스가 이천에서 공장 운영을 편하게 할 수 있도록 복지시설 등 지원을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시기 바란다.

이천의 자랑이자 대한민국의 희망인 SK하이닉스가 세계 1위의 초일류 기업으로 우뚝 서는 그날까지, 저 또한 이천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가슴 벅찬 응원을 보낼 것이다.

※ 이 기고는 <머니S>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