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포스코이앤씨 현장에서 잇따라 발생한 사망 사고를 질책하자 포스코그룹이 안전 진단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안전 전문회사를 신설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사진은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대표이사가 29일 오후 인천광역시 연수구 포스코이앤씨 송도사옥에서 고속국도 공사현장 사망사고에 대해 사과하는 모습. /사진=뉴스1


포스코그룹이 포스코이앤씨 등 계열사 현장에서 잇따라 발생한 사망 사고에 대해 안전 진단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안전 전문회사를 신설하기로 결정했다. 유가족을 지원하는 재단도 설립한다.


1일 포스코그룹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안전관리 혁신계획을 전날 발표하고 회장 직속 '그룹안전특별진단 TF팀'을 이날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TF에는 학계·기관 등 외부 전문가와 직원·노조 등이 참여해 개선 과제를 마련한다.

포스코그룹 관계자는 "사업장에서 발생한 불의의 사고로 소중한 생명을 잃은 고인과 사랑하는 가족을 떠나보내신 유가족께 깊은 애도와 진심 어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재해 발생의 근본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 데 회사의 모든 자원과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안전 전문회사 설립도 검토한다. 글로벌 우수 기업과의 인수·합병(M&A) 등 모든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특히 안전과 인공지능(AI)을 접목해 안전 기술, 안전 진단과 솔루션, 공사 안전 플랫폼 등을 개발하기로 했다.

아울러 '산재가족돌재단'을 설립한다. 장학 사업과 유가족 지원 등 다양한 기금 활용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포스코그룹은 사업 회사 중심의 안전관리를 그룹 중심으로 전환하고 하도급 구조를 혁신하기로 했다.


모든 현장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해 하도급 위반 사례가 적발되면 거래 중단이나 계약 해지 등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예고했다. 포스코그룹에서는 올해 포스코이앤씨 4건, 포스코 광양제철소 1건을 포함해 5건의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9일 포스코이앤씨 등을 거론하며 산재 사고가 반복되는 문제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 대통령은 "똑같은 방식으로 사망 사고가 나는 것은 죽음을 용인하는 것이고 심하게 얘기하면 법률적 용어로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질타했다.


이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전날 인천 송도 포스코이앤씨 본사를 방문해 "더 이상 사람과 안전을 비용으로 생각해선 안 된다"며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