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ETF가 순자산 5000억원을 돌파했다. 사진은 ETF 홍보 이미지./사진=삼성자산운용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ETF가 순자산 5000억원을 돌파했다.

6일 삼성자산운용은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순자산이 5080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 연말 기준 순자산 1323억원에서 약 283% 성장했다. 올 들어 개인 순매수가 3072억원에 달했다. 국내 상장된 미국배당다우존스형 ETF 11종보다 높다. 개인 순매수는 지난 6월 이후 약 2개월 동안 715억원이 몰렸다.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2022년 9월 서학개미 투자자에게 익숙한 미국 DIVO ETF를 복제해 국내 상장했다. 지난 4일 기준 미국에서 DIVO ETF는 ▲1개월 0.14% ▲3개월 7.34% ▲연초 이후 9.26% ▲1년 15.94% 수익률을 기록했다.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도 전날 기준 ▲1개월 2.05% ▲3개월 7.98% ▲6개월 0.13% ▲연초 이후 1.90% ▲1년 18.31%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는 SCHD(미국배당다우존스) ETF를 앞선다. 해당 기간 SCHD 수익률은 ▲1개월 2.71% ▲3개월 3.09% ▲연초이후 -0.75% ▲1년 2.45% 등이다.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상장 초기 월분배율 0.47%를 시작으로 최근 0.82%까지 꾸준히 늘렸다. 그 결과 연간 분배율을 최근 연 9.6%수준까지 높였다.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탄력적 옵션 전략으로 시장 변동성이 높을 때 하방 위험을 축소한다.

종목은 액티브 선별로 배당주 한계를 보완한다. SCHD ETF는 유니버스 내 배당수익률 상위 50% 이상 종목을 편입하는 패시브 ETF라 배당이 성장하는 테크주는 편입 가능성이 낮다. 주가 성장이 빠른 주식은 배당수익률이 내려가 편출된다는 단점도 있다. 지난해 3월 AI 반도체로 상승세를 탔던 브로드컴을 주가상승으로 인한 배당수익률 하락으로 편출한 사례가 있다.


마승현 삼성운용 매니저는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탄력적인 액티브 커버드콜 전략뿐 아니라 기존 배당주의 한계를 뛰어넘는 종목 선정 등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더불어 주가 상승까지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투자 수단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