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론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에 감염돼 누렇게 변한 멜론 이파리. /사진제공=경기도


멜론, 수박, 오이 등 박과작물 재배지에 황화 바이러스가 확산하면서 경기도농업기술원이 농가에 진딧물, 담배가루이 등 매개충에 대한 철저한 초기 방제를 당부했다.


7일 경기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지난해 평택, 용인, 양평 등 주요 멜론 재배지 9곳에서 박과진딧물매개황화바이러스 발병률이 평균 7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황화바이러스 가운데 하나인 박과퇴록황화바이러스는 작년 평택 일부 멜론 재배지에서 처음 발견했으며 올해는 용인과 양평 등 수박 재배지까지 확산했다. 황화 바이러스에 감염된 작물은 잎이 노랗게 변하고 성장이 부진해 과실 품질이 크게 떨어진다.


재배 초기에는 생리장해로 오인하기 쉬워 피해가 커질 수 있다고 농기원 관계자는 밝혔다. 치료 약제가 없어 초기부터 매개충 방제를 철저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피해를 줄이려면 작물 수확 후 잔재물과 주변 잡초를 제거하고, 출입문과 측면 창에 방충망과 끈끈이트랩을 설치해야 한다. 매개충 밀도가 높아지는 8~9월에는 약제에 내성이 생기지 않도록 계통을 달리해 3~7일 간격으로 2~3회 번갈아 뿌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박중수 경기도농업기술원 환경농업연구과장은 "황화 바이러스병 의심 증상이 보이거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면 사이버식물병원(plant119.kr)에 의뢰해 정확한 진단과 관리 방법을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