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란 한 판에 7356원… 폭우·폭염에 '금값'된 농축산물
김유림 기자
공유하기
![]() |
폭우·폭염 등 여파로 농축산물 가격의 상승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참외·수박 등 대표적 여름 과일값 고공행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닭고기와 계란 가격도 오름세다.
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농업관측센터가 공개한 '농업관측 8월호'에 따르면 지난달 육계 산지가격은 ㎏당 1954원으로 전년(1563원)보다 25.0% 올랐다. 평년(1743원) 대비로도 12.1%나 높다. 이어 이달 육계 산지가격은 ㎏당 1800원으로 전년(1739원) 대비 3.5% 높은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평년(1663원) 대비로도 8.2%나 높다.
KREI 측은 "생계유통가격은 폭염 피해 및 복 성수기 수요 증가로 가격이 상승했다"며 "폭염과 호우 등으로 생산성이 저하될 경우 가격 상승 폭이 확대될 수 있다"고 전했다.
육계 가격은 통상 복 성수기에 오르긴 하지만 올해는 4~5월에 이미 2000원대를 기록하는 등 높은 가격 수준을 유지하던 상황이다. 닭고기 가격은 올해 1월부터 1927원으로 시작하며 높은 수준을 보이다 결국 4월 2265원으로 2000원대를 넘겼다. 지난해에는 4월 1860원이 가장 높은 가격이었다.
브라질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으로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이 금지됐던 것이 닭고기 가격을 자극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이 재개돼 이달 중순 국내에 도착할 예정이다.
계란 가격도 심상치 않다.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 특란 30구 전국 평균 가격은 7356원으로 2021년 7월 이후 최대치를 경신했다. 또한 이달 참외·수박 등 대표적 여름과일 가격도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달 수박의 가락시장 도매가격(상품)은 ㎏당 3300원 내외로 전년(3055원) 대비 45.4% 올랐다. 폭염과 복숭아 등 대체 품목 가격 상승 탓이다.
이달에도 고온 지속, 복숭아·포도 등 대체 품목 가격 상승, 민생회복 지원금 지급 등으로 수박 가격은 1년 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8월 수박 도매가격은 ㎏당 3100원으로 전년(3060원)보다 높을 전망이다. 8월 참외 가격은 5㎏당 4만4000원으로 전년(4만1440원)보다 6.2%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 7월 소비자물가지수 조사 결과 농축산물은 전년동월대비 1.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폭염과 폭우가 반복되면서 농축산물 생육 부진이 심화된 탓이다. 이 가운데 주말에도 전국적 비가 예보되는 등 기후 급변이 지속되자 정부는 수급 관리 강화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폭염·폭우 지속에 따른 작황 부진에 대비해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시스템을 활용해 지역별 기상정보를 제공하고 폭염 피해를 저감할 수 있는 약제를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유림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디지털뉴스룸 김유림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