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고속도로 구축한다"… 이재명 정부, 'AI 3대 강국' 로드맵
GPU 5만장 구축… 산업·지역 AX도 추진
김성아 기자
공유하기
![]() |
이재명 정부가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건설이 산업화 기적을 이끌었던 것처럼 AI(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AI 고속도로' 구축에 나선다.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는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발표하며 이 같은 청사진을 제시했다.
송경희 국정위 경제2분과 위원장은 "한국은 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건설로 산업화의 기적을 이뤘고 1990년대 말 초고속인터넷망을 신속히 구축해 정보화 강국으로 발돋움했다"며 "이제 AI와 에너지라는 두 개의 성장 고속도로로 새로운 미래를 열겠다"고 강조했다.
국정위는 AI 3대 강국 실현을 위해 ▲AI 고속도로를 통한 산업·지역 AI 확산 ▲누구나 AI를 누리는 AI 기본사회 구현 ▲세계 1위 AI 정부 달성 ▲AI 컨트롤타워 구축 등을 추진한다. 첨단 GPU 5만장 이상을 조기 확보하고 대규모 양질의 데이터를 제공해 기업과 인재들이 자유롭게 역량을 발휘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모든 국민이 AI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 인프라를 확대하고 안전하고 윤리적인 AI를 위한 제도적 장치도 마련한다. 공공부문에서는 재난 예방과 대응, 세금·법무·복지 등 행정서비스 혁신에 AI를 적극 도입한다. 이를 총괄하는 국가AI위원회는 범국가 AI 정책과 전략 조정 기능을 강화한다.
기초과학 분야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과학기술 인재 양성 ▲연간 벤처투자 40조원 달성 ▲첨단산업 혁신생태계 조성 계획도 제시했다. 청년 과학기술인 육성과 함께 해외 석학·신진 연구자 2000명 유치, 글로벌 유니콘 기업 50개 육성을 목표로 한다.
송 위원장은 "ABCDE(AI·바이오·콘텐츠·방산·에너지) 산업을 집중 육성해 미래 먹거리를 만들겠다"고 했다. 정부는 이 같은 전략으로 현재 세계 6~7위 수준인 한국의 AI 종합 경쟁력을 2030년까지 3위로 끌어올리고 연구개발 투자와 인력 규모를 세계 5위로 높일 방침이다. 2023년 기준 388명 순유출된 우수 과학자를 500명 이상 순유입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성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