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계가 무용교육 전반에 대한 개혁을 촉구하고 나섰다. 무용인 564명은 성명을 통해 정부와 무용계 내부를 향한 자성의 목소리를 담아 '대한민국 무용교육 개혁'을 14일 촉구했다. 삽화는 기사 내용과 무관(제작=chatGPT)


(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무용계가 브니엘예고생 3명의 비극적 희생 이후 무용교육의 전면 개혁을 촉구하는 2차 성명서를 14일 발표했다. 이번 성명에는 전국 무용인 564명이 참여했다.


부산 브니엘예고 학생 세 명의 희생이 무용인 49명이 참여한 지난 6일 1차 성명에 이어 전국 무용계의 대규모 행동으로 이어졌다. 2차 성명에는 대학 교수, 안무가, 평론가, 국공립무용단원, 대학 겸임교수, 예술강사, 청년무용인까지 지역·세대·장르를 망라한 564명의 무용인이 동참했다.

무용인들은 성명서에서 "무용하는 어른들이 제일 싫어요"라는 말을 남기고 떠난 학생들의 죽음을 단순한 개인의 비극이 아닌 무용계의 오랜 부조리와 기득권 구조가 만든 '사회적 타살'로 규정했다. 이들은 정부 당국에 앞서 무용계 스스로의 반성과 성찰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성명서는 대한민국 무용교육 시스템이 1960년대 초반 대학 무용과와 무용콩쿠르 창설로 시작돼 K-무용의 기반이 됐지만, 학령인구 감소와 환경 변화로 현재 위기에 직면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무용콩쿠르는 본래의 기능에서 벗어나 왜곡·변질됐고, 불공정한 예술지원 체계는 무용 현장의 양극화를 심화시켜 이권 카르텔의 '검은 씨앗'이 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무용계가 요구한 6대 개혁안을 살펴보면 '예술고 운영 실태 점검 및 대학 무용과 입시제도'를 전면 개편하고 무용강습회·무용콩쿠르 실태조사 및 감독기구 설치할 것을 요구했다. 무용콩쿠르의 공정성을 강화하고 병역특례를 전면 재검토하라고도 주장했다.


불공정 신고센터·심리치유센터를 설치하라고도 요구했다. 아울러 국가보조금 지원 실태를 조사하고 공정한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도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레슨비 표준단가를 제정하고 거래실명제를 실시하자고도 요구했다.

무용인 일동은 "이번 사태는 무용공동체 모두의 책임"이라며 "정부와 국회가 무용교육 정상화를 위해 제도와 법 개정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