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자구책 먼저"…홈플러스 폐점 계획에 정치권·노동계 반발
최유빈 기자
공유하기
![]() |
홈플러스가 15개 점포 폐점 결정을 발표하면서 정치권, 노동계, 입점 점주, 전자단기채권(전단채) 피해자 단체가 한목소리로 대주주 MBK를 규탄하고 나섰다.
14일 국회에서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는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와 홈플러스 노조, 입점점주, 전단채 피해자 대표들이 참석해 폐점 철회와 MBK의 자구책 마련, 국회 청문회 실시를 강력히 요구했다.
이번 기자회견에는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소속 의원뿐 아니라 진보당, 사회민주당 의원도 동참해 정치권 전반의 우려를 드러냈다. 강우철 마트노조 위원장, 안수용 홈플러스지부장, 김병국 입점점주비상대책협의회 회장, 이의환 전단채 피해자 비대위 집행위원장 등 이해당사자들도 참석했다.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홈플러스의 대규모 폐점 계획은 대주주 MBK의 '먹튀 선포'와 다름없다"며 "폐점 계획 철회와 함께 대주주 MBK의 자구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홈플러스는 전날 긴급 생존경영 체제 돌입을 선언하며, 68개 임대점포 중 임대료 조정 협상에서 성과가 없는 15개 점포를 순차 폐점하겠다고 밝혔다. 폐점 대상은 서울 시흥·가양·일산점, 인천 계산점, 안산 고잔점, 수원 원천점, 화성 동탄점, 천안 신방점, 대전 문화점, 전주 완산점, 대구 동촌점, 부산 장림·감만점, 울산 북구·남구점 등이다.
회사 측은 대형마트가 올 7월 민생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되면서 매출 하락폭이 커졌고, 회생절차 기업 특성상 외부 차입도 어려워 유동성 압박이 심화됐다고 설명했다.
안수용 홈플러스지부장은 "매장은 수천 명의 직영 노동자와 수많은 입점 업주가 생계를 이어온 터전"이라며 "하루아침에 문을 닫으면 지역경제는 직격탄을 맞고 노동자와 입점 업주의 생계는 한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MBK 김병주 회장의 파렴치한 행태에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내부 경영 실패를 덮기 위해 외부 요인 탓만 하는 것은 무책임의 극치"라고 비판했다.
김병국 입점점주비대위 회장도 "MBK는 지난 10년간 경영 부실이 심화되는 것을 알면서도 투자금 회수에만 혈안이 돼 있었다"며 "MBK 김병주 회장이 인수 당시 약속한 투자금 1조원과 회생 신청 이후의 사재 출연 약속을 즉각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의환 전단채 피해자 비대위 집행위원장은 "무리한 차입경영과 매각 후 임차에 따른 이자 부담이 부메랑이 돼 위기를 자초했다"며 "투자자, 노동자, 입점업체, 정부에 책임을 떠넘기는 뻔뻔한 행태를 용납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민병덕 의원은 "MBK의 2015년 홈플러스 인수 당시 약 6,600억원 규모의 국민연금 공적투자가 투입됐다"며 "국민 세금이 투입된 만큼 더욱 엄중한 조사와 처벌이 필요하다. 국회 청문회를 통해 MBK의 악질적 행태를 바로잡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최유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