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北 체제 존중·흡수통일 추구 안해… 대화 복원하자"
광복 80주년 경축식서 밝혀
김이재 기자
공유하기
![]() |
"광복 80주년인 올해가 대립과 적대의 시대를 끝내고 평화공존과 공동성장의 한반도 새 시대를 함께 열어갈 적기입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15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이같일 밝히며 "신뢰를 회복하고 단절된 대화를 복원하는 길에 북측이 화답하길 기대한다"며 했다.
이 대통령은 "분단으로 지속된 남북 대결은 우리 삶을 위협하고 경제 발전을 제약하고 나라의 미래에 심각한 장애가 되고 있다"며 "낡은 냉전적 사고와 대결에서 벗어나 평화로운 한반도의 새 시대를 열어가야 할 때"라고 밝혔다.
이어 "숱한 부침 속에서도 이어지던 남북 대화가 지난 정부 내내 완전히 끊기고 말았다"며 "엉킨 실타래일수록 인내심을 갖고 차근차근 풀어야 한다"고 했다. "먼 미래를 말하기에 앞서 지금 당장 신뢰 회복과 대화 복원부터 시작하는 것이 순리"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남과 북은 원수가 아니다"라며 "남과 북은 서로의 체제를 존중하고 인정하되 평화적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의 특수관계라고 우리는 정의했다"고 말했다. "남북기본합의서에 담긴 이 정신은 6·15 공동선언, 10·4 선언, 판문점 선언, 9·19 공동선언에 이르기까지 남북 간 합의를 관통하고 있다"며 "우리 정부는 기존 합의를 존중하고 가능한 사안은 바로 이행해 나갈 것이다"라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현재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며 "남북 간 우발적 충돌 방지와 군사적 신뢰 구축을 위해 9·19 군사합의를 선제적 단계적으로 복원해 나갈 것이다"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공리공영·유무상통 원칙에 따라 남북 주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교류 협력 기반 회복 그리고 공동성장의 여건 마련에 나서겠다"면서 "평화로운 한반도는 '핵 없는 한반도'이며 주변국과 우호적 협력을 기반으로 하는 한반도"라고 강조했다.
그는 "비핵화는 단기에 해결할 수 없는 복합적이고 어려운 과제이나 남북, 미북 대화와 국제사회의 협력을 통해 평화적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 나가면서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공감대를 넓혀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이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