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이 대통령 대북 발언에 "국민 인내 시험… 한가한 소리"
김문수 "왜 우리가 북한에 고개를 숙여야 하나"
김성아 기자
공유하기
![]() |
국민의힘이 이재명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데 대해 "현실을 외면한 한가한 소리"라고 비판했다.
최은석 수석대변인은 16일 논평에서 "북한이 '허망한 개꿈'이라 조롱하는 상황에서도 끝까지 화답을 기대하겠다고 하니 이는 북한에 대한 무한 인내가 아니라 국민의 인내심을 시험하는 일"이라고 밝혔다.
그는 "9·19 군사합의는 문재인 정부 당시에도 북한이 밥 먹듯이 위반하며 사실상 무력화됐다"며 "그런데 이를 다시 복원하겠다는 것은 이미 실패로 증명된 족쇄를 우리 스스로 발목에 채우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자멸로 가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최 수석대변인은 또한 "북한에 미소를 보내며 국민에게 불안과 분열을 안기는 길이 아니라 강력한 억지력과 확고한 동맹 위에서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는 길이야말로 진정한 평화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허상의 평화에 구걸할 것이 아니라 우리 군의 억지력 유지와 전력 강화를 위해 모든 역량을 쏟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말했다.
김문수 당대표 후보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9·19 군사합의를 먼저 깬 쪽도 북한"이라며 "그런데 왜 우리가 북한에 고개를 숙여야 하나"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강력히 규탄한다. 김정은의 대변인이 아니라면 결코 나올 수 없는 발언"이라며 "대통령의 자리는 김정은의 심기를 살피는 자리가 아니라 오직 대한민국의 안위를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는 자리"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이 대통령은 지금 북핵 위협, 오물풍선 살포, 끊임없는 무력 도발에 맞서야 할 시점에 북한 체제를 존중하고 적대 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굴복 선언을 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재명의 북한 친화적 행위는 헌법에 어긋날 뿐 아니라, 이적 행위로도 충분히 의심받을 만한 일"이라며 "헌법의 가치와 자유대한민국의 근간을 무너뜨리려는 세력을 더 이상 용납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사에서 "현재 북측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행위를 할 뜻도 없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성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