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韓문화 담아" '케데헌' 감독, 제작·속편 다 밝혔다(종합)
[N현장]
뉴스1 제공
공유하기

(서울=뉴스1) 고승아 기자 = 전 세계적인 신드롬을 불러 일으킨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연출한 매기 강 감독이 한국을 찾아 "믿어지지가 않는다"며 소감을 밝혔다.
매기 강 감독은 22일 오후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 내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지난 6월 20일 공개된 '케이팝 데몬 헌터스'는 케이팝 슈퍼스타인 루미, 미라, 조이가 화려한 무대 뒤 세상을 지키는 숨은 영웅으로 활약하는 이야기를 담은 액션 판타지 애니메이션이다.
강 감독은 제작 시작부터 출시까지 7년이 걸렸다며 "7~8년 전 할리우드 스튜디오에서 K팝 영화를 만들고 싶었는데 아무 데서도 못 풀었다, 그러다 K팝과 데몬 헌터 요소를 뭉치니 뮤지컬이면서 더블 라이프도 보여줄 수 있는 재밌는 캐릭터가 나오게 됐다"며 "한국 문화나 디테일을 정확하게 만들고 싶었다"고 했다.
이 영화는 넷플릭스 역대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 영화에 올랐다. 현재 넷플릭스 영화 역대 1위 '레드 노티스'(2021)의 기록을 맹추격 중이다.
강 감독은 "영화가 나오고 10일 동안 남편과 트위터(현 X), 인스타그램을 끝없이 봤다, 저는 영원히 트위터라고 할 거다"라며 웃은 뒤, "트위터를 보면서 자야 하는데 새벽 2~3시까지 휴대폰을 못 놓겠더라, 그러다 한국 분들 포스트가 넘어오면서 진짜 글로벌하다고 느꼈다"라고 되돌아봤다.
인기의 이유는 무엇일까. 강 감독은 "결국 이야기 때문"이라며 "모든 캐릭터에 진심으로 공감하고 이입이 가능하기 때문이고, 그게 바로 영화가 가지는 아름다움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강 감독은 루미의 탄생에 한국 무속 문화와도 연관이 있다며, "전통적으로 무당이 대부분 여성이라는 게 흥미로웠고, 그분들이 남성 의복을 입은 게 진보적이며 페미니즘의 상징이라 생각했다"라며 "그래서 자연스럽게 한국의 신화, 무당을 연결 지었다"고 밝혔다.
이에 '케이팝 데몬 헌터스' 속 가상 K팝 걸그룹 헌트릭스가 부른 곡 '골든'은 최신(8월 16일 자) 빌보드 메인 싱글 차트인 '핫 100'에서 1위를 차지했다. '골든'은 K팝으로는 '핫 100'에서 2년 만에 정상에 오른 곡이자, K팝 걸그룹이 부른 노래로는 처음 1위를 차지했다.
강 감독은 "'골든'은 루미가 소망, 열망을 담아야 하는 대표곡이 되어야 해서, 이 노래가 상당히 부르기 어려워야만 했다"라며 "고음을 해내는 가수의 노래를 들을 때, 고음 파트가 더 높고 부르기 힘들수록 그 감정이 격해지고 감동이 더 커진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영화와 OST가 엄청난 성과를 거두면서 향후 아카데미(오스카상) 수상에 대한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강 감독은 "어떤 식이든, 어떤 형태로든 영화 업계에서 인정받을 수 있다면 큰 의미가 있고 대단한 영광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향후 한국 문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선 자신감을 꼽았다. 그는 "관객들은 진짜 나를 원하고, 그래서 나도 진짜를 보여드리려고, 우리가 가지고 있는 한국적 감성을 가감 없이 보여드리려고 했다"고 밝혔다.
또한 "저와 같은 '교포'들은 정체성 혼란을 겪기가 쉬운데, 다행히도 전 운이 좋게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을 강하게 품어왔다"라며 "그건 한국어라는 언어를 계속해서 간직해 왔기에 그러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가 진정한 의미의 글로벌화를 위해 이루고자 한다며 다양한 문화를 경험한 글로벌한 크리에이터 힘을 빌릴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후속에 대한 관심도 높다. 강 감독은 "오피셜은 없다"라며 "(만약 진행하면) 한국 음악의 여러 가지 스타일을 보여주고 싶고, 트로트도 해보고 싶다"라고 했다. 또한 진우의 죽음에 대해서도 "모르는 일"이라며 웃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뉴스1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