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상 회로: 동아미술제와 그 시대'展 포스터 (일민미술관 제공)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일민미술관은 10월 26일까지 하반기 기획전 '형상 회로: 동아미술제와 그 시대'를 개최해 관람객을 맞이한다.


이번 전시는 1978년 처음 개막했던 '동아미술제'를 통해 한국 미술에 '형상'이라는 새로운 논의를 불러일으켰던 시대의 미학적 시도를 재조명하는 자리다. 이를 통해 이 시도가 오늘날 구상미술의 흐름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탐색한다.

전시는 동아미술제 수상 작가와 동시대 작가, 그리고 현재 활동하는 작가 17인의 작품 98점을 선보인다. 전시 제목 '형상 회로'는 현실과 이어져 불을 밝히는 미술의 작용이자, 각자의 시차를 가진 회로 내부에서 빛을 발하는 작가들의 실천을 의미한다.


전시는 '이미지가 현실에 앞서는' 동시대 상황에서 출발한다. 미술이 현실에 어떻게 닿을 수 있을지 질문하며, 현실에 직접적인 '충격'을 줄 수 있는 미술의 '형상적 충동'에 주목한다. 이는 무겁고 느린 이미지를 통해 현실을 정확히 딛고 서려는 움직임이다.

일민미술관, '형상 회로_ 동아미술제와 그 시대. 3전시실 전시 전경. ⓒ 사진 제공: 일민미술관. 사진: 스튜디오 오실로스코프(Studio Oscilloscope)


1970년대는 단색화가 정점에 달하면서도 현실을 향한 새로운 감각이 싹트던 시기였다. 1978년 시작된 '동아미술제'는 '새로운 형상성'을 화두로 삼았다. 여기서 '형상'은 기존의 사실주의적 '구상'과 달리, 재현과 추상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미학적 활로를 찾으려는 의지를 담았다. 이러한 형상의 추구는 근대화와 도시화 속에서 개인이 각성한 구체적인 삶의 질감, 즉 미시적인 풍경에 대한 응답이었다.


'형상 회로'는 이러한 형상 미술의 과거와 현재를 잇는 시도다. 2000년대 이후 사진이나 스크린 이미지를 재구성하거나 내면의 심리를 통합하는 새로운 회화 양식이 나타났다. 최근에는 다시 구상의 성질에 착안해 현실을 반영하려는 젊은 작가들의 시도가 활발하다.

전시 연계 프로그램으로는 9월 4일 프리즈 위크 서울 기간에 맞춰 오후 7시부터 9시까지 연장 개관한다. 매주 일요일 오후 3시에는 도슨트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매주 월요일은 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