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이 25일 이승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중이다. 사진은 지난1월14일 이승오 합참 작전본부장(중장)이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0회국회(임시회) 제3차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이승오 합동참모본부(합참) 작전본부장을 다시 소환했다.

25일 뉴스1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검에 마련된 특검팀 사무실에 이 본부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중이다. 특검팀은 지난달과 지난 17일과 22일 이 본부장을 불러 무인기 의혹과 관련해 작전의 실행 경위와 보고 경로 등을 조사했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명분을 만들기 위해 북한에 무인기를 보내 대남 공격을 유도했다고 의심하고 이를 수사중이다. 그 과정에서 합참을 통한 정상적인 지휘 체계를 거치지 않고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김용대 전 드론작전사령관이 직접 소통했다고 의심하고 있다.

특검팀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합참의 반대에도 '무인기 투입 위치를 변경해 작전을 진행하라'고 지시한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합참 내 작전을 총괄하는 이 본부장을 상대로 북한 무인기 침투를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는지, 드론사령부로부터 관련 보고를 받았는지 등을 확인할 예정이다.


또 특검은 무인기 작전 과정에서 김 전 사령관이 지휘 체계상 직속 상급자인 합참을 패싱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보고 경로에 없던 김 전 장관이 관여해 김명수 합참의장의 반대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김 전 사령관 측은 합참 작전본부장의 지휘를 받는 입장에서 패싱은 할 수가 없다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아직까지 이 본부장과 김 전 사령관의 대질조사 등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