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지난 25일 ‘수행평가 현장 의견 수렴 2차 토론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교육청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수행평가·대입제도 개편에 대해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꼭 필요한 부분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임 교육감은 25일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행평가 현장 의견 수렴 2차 토론회'에 참석해 "어떤 문제 해결을 위해 장기적 과제인지 단기 과제인지, 전체의 문제인지 부분적 문제인지, 균형이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임 교육감은 "수행평가 문제에 분명한 목표를 가져야 대입 문제, 학생부, 고교학점제 등 전반적인 교육 문제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며, "이제 수행평가와 고교학점제를 대입제도와 연계해 종합적인 해법을 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번 토론회는 지난달 21일 열린 1차 토론회에 이어 학생의 미래 역량 함양을 위한 수행평가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평가 현장 의견을 수렴하는 2차 토론회 자리다.


토론회는 '수행평가, 함께 다시 그리다-현장과 전문가의 대화'를 주제로 이뤄졌다. 행사에는 임태희 교육감을 비롯해 도교육청 주요 관계자와 교원·학부모·교육전문가 등 모두 100여 명이 참석했다.

순서는 현장 교사와 대학교수 등 교육전문가의 지정토론에 이어 현장 참여자와의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했다. 지정토론에서는 △학생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창, 수행평가(이의고 교사 윤승혜) △수업과 하나 되는 수행평가를 말하다(치동고 수석교사 차유화) △평가, 자율로 묻고 책임으로 답하다(포곡고 교장 김현석) △수행평가, 대학의 시선으로 보다(동국대 입학사정관 이재원) △수행평가, 교육의 본질을 회복하다(강남대 교수 전경희) 순으로 현장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수행평가의 개선 방안에 대해 발표가 이뤄졌다.


차유화 수석교사는 "수업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평가 구조와 인공지능(AI) 기반 환류(피드백)를 활용해 학생 성장 중심의 평가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현석 교장(포곡고)은 "평가기준의 명확화, 교사의 전문성 강화, 공동 평가와 인공지능(AI) 지원 체계 마련 등을 통한 수행평가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어진 현장 토론에서는 임태희 교육감과 지정토론 발표자, 현장 참석자들이 함께 모여 학생의 미래 역량 함양을 위한 수행평가의 개선 방향에 대해 자유롭게 논의했다.

임 교육감은 "'학생 성장'을 위한 수행평가와 '미래 준비'를 위한 대입제도 개편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꼭 필요한 부분"임을 역설하며 "우리 아이들이 더 행복하고 정의롭게 성장하는 교육제도로 바꿀 수 있도록 여러분이 함께 힘을 모아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