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 하는 거 잘 봤지?… 기아 임단협, 현대차만큼 산 넘어 산
지난해 영업익 12.6조, 노조 요구 성과급만 단순 계산 상 4조 육박
김창성 기자
1,474
공유하기
![]() |
현대자동차 노조가 노조원 투표를 통해 90%가 넘는 압도적인 찬성률로 합법적인 파업권을 확보하면서 기아 노조의 행보도 주목된다. 기아 노조 역시 현대차에 버금가는 역대급 성과급 요구안 등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테이블에 들고 나와 회사와 맞서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리스크 여파에 현대차와 함께 비용 지출 부담이 커진 기아는 노조의 행보를 주시하며 협상 타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난항이 예상된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노조는 올해 임단협 협상 테이블에 기본급 14만1300원 인상과 함께 지난해 영업이익의 30%에 달하는 3조8000억여원의 성과급을 조합원(전 종업원)에게 지급해 달라는 요구안을 올렸다.
기아는 지난해 역대 최대인 107조4488억원의 매출과 전년대비 9.1% 늘어난 12조6671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판매량은 국내외를 합쳐 308만9300대를 기록해 전년대비 0.1% 소폭 늘었다.
올 들어서는 상황이 반전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 이후 지난 4월부터 25%의 관세 부과 리스크와 마주해서다. 지난 2분기(4~6월) 연결기준 기아의 매출은 29조349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5% 늘었지만 24.1% 떨어진 2조7648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손실을 봤다.
이 기간 기아는 전년보다 2.5% 늘어난 81만4888대를 팔았지만 관세 여파에 7860억원의 추가 지출을 떠안았다.
앞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028년까지 미국에 자동차·부품 및 물류·철강·미래 산업 등 주요 분야에 210억달러(약 31조원)의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는 계획을 지난 3월 내놨다.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방미 경제사절단에도 동행해 260억 달러(약 36조1800억원)의 추가 투자 계획까지 발표했지만 오락가락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불확실성이 가득해 회사의 수익성 방어엔 장기적으로 부담이 뒤따를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기아는 지난해 최대 실적을 올렸지만 대내외 경영 불확실성이 가득한 만큼 노조의 요구안이 무리하다고 판단한다.
기아 노조가 요구한 지난해 영업이익의 30%를 단순 계산하면 3조8000억여원에 달한다. 지난해 사업보고서 기준 기아 직원 수인 3만5700여명으로 나누면 1인당 1억원이 넘는 성과급을 지급해야 한다.
노조는 별도 요구사항으로 통상임금 관련 조합원 특별위로금 2000만원을 비롯해 만 64세까지 정년 연장, 주 4일 근무제 도입도 주장한다.
기아 노조는 2022년과 2023년에도 주 4일제를 요구했고 지난해에는 4.5일 근무제를 주장했지만 올해는 이재명 대통령이 주요 공약으로 정년 연장과 주 4.5일제 도입을 추진하는 만큼 주 4일제를 들고 나왔다.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기아 노조가 들고 나온 올해 임단협 요구안은 총 17가지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 노조가 지난 25일 진행한 찬반투표를 통해 90%가 넘는 찬성률로 합법적인 파업권을 확보한 상황에서 기아 노조 역시 요구안 관철을 위해 파업 카드를 꺼내들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현대차보다 임단협을 늦게 시작한 기아는 오는 27일 4차 실무교섭에 이어 다음날 3차 본교섭을 진행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