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한글국제프레비엔날레_공식 키비주얼 (세종 특별자치시 제공)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세종시 조치원읍이 한글의 아름다움과 현대적 감각을 담아낸 국제 예술 무대로 변신한다. 세종특별자치시와 세종시문화관광재단은 9월 1일부터 10월 12일까지 조치원읍 일대에서 '2025 한글 국제 프레 비엔날레'를 개최한다.


이번 비엔날레는 '그리는 말, 이어진 삶'을 주제로 2027년 열릴 제1회 한글 비엔날레의 시작을 알리는 사전 행사다. 한글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국내외 작가들의 시선으로 재해석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한국을 포함해 영국, 우루과이, 싱가포르 등 4개국 39명의 작가가 참여하며, 지역 작가 13명과 세계적인 드로잉 아티스트 미스터 두들(Mr Doodle), 한글 조형예술로 유명한 빠키 등 저명한 예술가들이 함께한다.

전시는 조치원읍에 위치한 6개 공간에서 열린다. 학사동(한글의 생성), 산일제사(한글의 순간), 북세종상생문화지원센터(한글의 도전), 조치원1927 다목적홀(한글의 상생), 조치원1927 별관(한글의 미래), 조치원1927 외부(한글의 변화) 등에서 회화, 설치, 미디어아트, VR·AR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특히 미스터 두들은 산일제사에서 한지를 활용한 작품을 선보인다. 조치원1927아트센터 외벽에는 한글과 아이콘을 결합한 라이브 드로잉 작품을 영구히 남길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국립한글박물관 특별전시 '오늘의 한글, 세종의 한글'이 정부청사문화관(박연문화관)에서 열린다. 이 전시에서는 천종업, 하지훈 작가 등 여러 예술가가 한글을 재해석한 작품들과 훈민정음해례본, 언해본(복제) 등 한글의 원형을 보여주는 자료들을 함께 볼 수 있다.


프레 비엔날레는 전시 외에도 풍성한 부대행사들을 준비했다. 9월 3일에는 조치원1927아트센터에서 개막식이 열리며, 9월 11일에는 싱가포르국립예술위원장 엥텅이 참여하는 국제포럼 '예술로 살아나는 문자?한글 리바이브'(HANGEUL RE:VIVE)가 진행된다. 행사 기간 동안에는 시민 도슨트 해설, 컬러링 및 작품 감상 워크숍, 스탬프 투어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최민호 세종시장은 "이번 비엔날레는 한글을 통해 세계와 소통하는 문화도시 세종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2027년 열릴 한글 비엔날레 성공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한글문화도시 공식 누리집과 인스타그램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