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립 10주년' 파두 "AI 팹리스 기업 진화 목표"… 2.0 비전 본격화
이한듬 기자
공유하기
![]() |
창립 10주년을 맞이한 데이터센터 반도체 전문기업 파두가 'AI팹리스' 기업으로 진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파두는 27일 서울 종로구 클럽806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3세대에 걸친 데이터센터의 진화과정을 설명하고 '파두 2.0 비전'을 공개했다.
GPU 중심으로 급격한 기술변화와 시장구도 변동을 야기하고 있는 '3세대: AI시대'에 파두가 어떻게 메모리의 한계를 극복하고 AI스토리지의 선도기업으로 성장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이다.
특히 그동안 실적의 부침속에서도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고객발굴 노력 끝에 최근 글로벌 4대 하이퍼스케일러 중 2개 고객 및 주요 서버기업 2곳을 확정짓고 본격적인 실적개선에도 시동을 걸었다.
이지효 파두 대표는 "창립 당시부터 반도체가 모든 산업의 핵심이 될 것이라 예상하고 특히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시장이 반도체 수요를 이끌 것이라 판단했다"며 "반도체 강국인 한국의 기술력으로 글로벌 시스템 반도체 팹리스를 만들겠다는 목표로 출발했다"고 소회했다.
파두는 지난 2015년 서울대학교 스토리지 구조 연구실 연구진을 중심으로 설립됐다. 첫 제품인 젠3 SSD컨트롤러부터 글로벌 고객을 확보하는데 성공했으나, 젠4 컨트롤러는 시장 불황으로 고객 확보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AI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젠5컨트롤러가 지난해 말부터 본격 공급되기 시작해 올해 사상 최대 매출을 기대하고 있다.
파두의 가장 큰 강점은 '혁신적 아키텍쳐 기반의 전성비(성능 대비 전력 효율)'다. 이를 토대로 미국, 중국, 대만, 폴란드 등 글로벌 거점에 영업 및 개발 조직을 세우며 고객 다변화와 인재 확보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현재 파두는 차세대 젠6 컨트롤러를 개발 중으로 이를 통해 장차 글로벌 4대 하이퍼스케일러 모두를 고객사로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세계 6대 낸드플래시 메모리 반도체 업체 중 절반 이상과 협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파두는 AI데이터센터 SSD에 머무르지 않고 차세대 AI스토리지로 확장해 나가는 동시에, 반도체 개발 과정에도 AI를 접목해 생산성을 극대화한 'AI팹리스'기업으로 진화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이지효 대표는 "지난 10년간 수많은 어려움을 거쳐 이제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과를 보여줄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며 "글로벌 반도체 전쟁의 최전선에서 경쟁하며 쌓아온 경험은 무엇보다 소중한 자산이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팹리스로서 글로벌 선도 반도체 기업으로 성장해 고객과 시장, 주주, 사회에 보답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한듬 기자
머니S 산업팀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