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28일 자당 최고위원회에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 노사정 대타협 공동위원회를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사진은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한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 /사진=뉴시스


국민의힘이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과 상법 재개정 등 논의를 위한 여야 노사정 대타협 공동위원회 구성을 더불어민주당에 제안했다.


28일 뉴시스에 따르면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지금이라도 합리적인 노동 현장을 만들기 위해 노조법과 상법 재개정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여야와 노사정 대타협 공동위원회 구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송 원내대표는 "불법파업조장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자마자 일주일도 안 돼 기업과 야당의 우려가 현실이 됐다"며 "지난 27일 네이버의 6개 손자회사 근로자가 원청기업 네이버 사옥 앞으로 몰려가 임금 협상 결렬 책임을 물으며 네이버가 직접 나서라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이어 "노사 현장이 벌써부터 이같은 혼란 빠지게 되면 6개월 동안의 법 시행 준비 과정도 대단히 험난할 수밖에 없다"며 "교섭과 파업이 늘면 인건비가 높아지고 결국 청년 일자리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걱정 목소리가 현실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송 원내대표는 "현대차만 하더라도 아직도 25% 관세가 부과되고 있고 7년 만에 파업이 일어날 수 있다는 노조 리스크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며 "그런 가운데 정의선 회장은 이재명 대통령과 경제사절단으로 미국에 가서 7조원의 투자를 추가로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야말로 이재명 삼중고를 겪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것이 현대차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경제계, 산업계 전체가 겪고 있는 위기 상황인 것"이라며 "노조법과 상법 개정, 미국의 관세 인상, 과도한 대미 투자 약속으로 대한민국 제조업이 공동화 현상을 나타낼 수밖에 없다는 전문가들의 우려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