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화가 빨라지며 금융서비스 접근 장벽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장애인·고령자 등 금융약자의 이용 불편 해소 방안 점검에 나섰다./사진=머니S


디지털화가 빨라지며 금융서비스 접근 장벽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장애인·고령자 등 금융약자의 이용 불편 해소 방안 점검에 나섰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은 29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 중회의실에서 김진홍 금융위 금융소비자국장 주재로 '장애인·고령층 금융접근성 개선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개최했다.

자리에는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보호총괄국과 은행연합회, 금융투자협회, 손해보헙협회, 생명보험협회, 여신금융협회 및 4개 시중은행(KB·우리·신한·하나) 소비자보호 담당자가 참석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4월 발표한 '장애인 금융접근성 제고 전략과 방안' 등의 후속 조치로 장애인 및 고령층의 금융이용 편의 제고를 위한 방안들이 착실하게 이행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추가적인 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진홍 금융위 금융소비자국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그동안 정부와 금융업계가 함께 장애인·고령자와 같은 금융약자의 금융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 다방면으로 노력해왔지만, 실제 금융 현장에서는 많은 분들이 여전히 불편을 겪고 있다"며 "금융권에서 금융취약층의 이용 편의를 높이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금융의 디지털화가 가속화하면서 금융 취약계층이 실제 체감하는 금융서비스 이용의 장벽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만큼, 금융회사들이 이들 취약층의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듣고 서비스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간담회에서는 ▲시각장애인용 OTP(일회용 비밀번호) 배포 상황 ▲청각장애인을 위한 STT(음성인식)·태블릿 상담 등 텍스트 상담 서비스의 금융업권 도입 현황 ▲고령자 등을 위한 금융앱 간편모드 도입 상황 등을 점검했다.


시각장애인용 음성 OTP는 1회용 인증번호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OTP로 올 4월 은행연합회·금융결제원 등이 협조해 기존 음성 OTP의 편의성(배터리교체 기능, 음량조절, 전원버튼 등 추가)을 대폭 개선한 바 있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텍스트 상담 서비스는 STT 서비스 또는 태블릿 상담 서비스로, 청각장애인의 금융계약 체결 과정에서 수어통역사를 통한 응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됐다.

금융앱 간편모드(큰 글씨, 중요기능만 재배치)는 고령자 등이 금융앱을 보다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간편하고 직관적인 구조·디자인을 적용하고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조회, 이체 등)을 중심으로 화면을 재구성한 모드다.

간담회를 통해 이행상황을 점검한 결과 시각장애인용 음성 OTP의 경우 기능개선이 된 신제품이 음성OTP 수요가 많은 은행 위주로 우선 도입 중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4개 주요 시중은행은 이달 도입을 완료했고, 나머지 대부분의 은행들도 올 3~4분기 중 도입할 계획이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텍스트 상담 서비스의 경우 대면창구 방문 서비스 수요가 높은 은행 및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우선 도입되고 있다. 은행의 경우 인터넷 전문은행 등을 제외한 15개 주요 시중은행 중 11개사(73%), 저축은행의 경우 79개사 중 68개사(86%)가 도입을 완료했다.

금융앱 간편모드의 경우 금융위·금감원이 은행권과 함께 모바일앱 간편모드 구성지침을 마련하고 금융회사의 간편모드 도입을 독려해오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장애인·고령층 등 소외계층의 금융이용에 불편이 없도록 그간 발표한 과제들의 이행 상황을 지속 점검하고 현장 간담회에서 제시된 의견들을 바탕으로 추가적인 개선 과제들도 적극 발굴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