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이' 김요한 "운동선수 출신이라 연기 과몰입…내 인생캐" [N인터뷰]①
뉴스1 제공
공유하기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지난달 30일 종영한 SBS 금토드라마 '트라이: 우리는 기적이 된다'(극본 임진아/연출 장영석/이하 '트라이')는 예측불허 괴짜 감독 주가람(윤계상 분)과 만년 꼴찌 한양체고 럭비부가 전국체전 우승을 향해 질주하는 코믹 성장 스포츠 드라마다. 지난 2021년 SBS 문화재단 극본공모에서 만장일치로 최우수 작품에 당선된 만큼 완성도가 높은 데다, 스포츠물에 걸맞은 감동 서사를 제대로 보여줘 방영 내내 시청자들에게도 호응을 얻었다. 이에 '트라이'는 최고 시청률 6.8%(8월 16일 8회 방송, 닐슨코리아 전국 기준)을 기록하며 큰 사랑을 받았다.
청춘들의 성장 서사가 주가 되는 '트라이'에서 단연 돋보인 인물은 가수 겸 배우 위아이 김요한이 연기한 윤성준이다. 극 중 윤성준은 만년 꼴찌인 한양체고 럭비부를 책임지고 있는 주장으로, 숱한 위기 속에서도 팀을 지켜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인물. 타고난 능력보다, 피나는 노력이 더 어울리는 FM 선수이기도 하다. 김요한은 치열한 스포츠 세계 속에서 흔들리는 청춘 윤성준의 복잡한 내면을 자연스럽게 그려냈으며 또한 실제 럭비 선수 못지않은 피지컬과 움직임으로 몰입도를 높였다. 성장하는 청춘의 자화상을 섬세하게 표현한 김요한은 이 작품을 통해 호평을 얻었다.
최근 뉴스1과 만난 김요한은 이번 드라마를 통해 큰 사랑을 받아 행복하다며 웃었다. 그러면서 '트라이'가 본인에겐 인생작으로 남을 것이라며, 작품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전했다.

-'트라이'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연습 기간까지 합치면 거의 1년 동안 함께한 작품이다. 배우들과 스태프분들, 같이 훈련한 선수들 모두 고생이 많았다. 그만큼 시청자들이 많이 사랑해 주셔서 너무 행복하다.
-극의 결말에는 만족하는지.
▶그동안 고구마를 많이 먹은 만큼, 결말이 목이 따가운 탄산을 마시게 해주지 않았나 한다. '우리는 기적이 된다'라는 부제처럼 럭비팀이 전국체전 우승이라는 기적을 보여주고, 윤성준과 주가람의 사제 케미가 감동을 준 점 역시 여운을 남겼다. 특히 성준이의 성장 서사가 완성된 듯해 좋았다.

-첫 화가 4.1%를 기록한 뒤 꾸준히 좋은 성적을 보여왔는데.
▶많이 사랑해 주셔서 감사했다. 초반에는 걱정이 많았다. 우리가 첫 방송을 다함께 시청했는데 다음 날 시청률이 나올 때까지 너무 긴장되더라. 마침 성빈이 형이 우리 집에서 자고 갔는데 첫방 다음 날 아침에 일어나니 '뭐 하나 보여줄까' 하면서 시청률을 알려주는데, 4.1%가 나와 '됐다!'라며 좋아하던 기억이 난다. 3.8%만 넘었으면 했는데 4% 이상이 나와서 너무 짜릿했다. 감독님까지 계신 단체 채팅방이 있는데, 첫 방송 시청률이 나온 뒤에 서로 축하한다고 했다.
-'트라이'는 SBS가 '스토브리그' 이후 오랜만에 선보이는 스포츠물이다. 어떤 점에 끌렸나.
▶럭비를 소재로 하면서도 그 안에 누군가의 성장 스토리가 있다. 또 윤성준 캐릭터를 너무 하고 싶은 마음이 컸다. 성준이가 나와 닮은 부분이 많다. 나도 태권도를 하다가 부상으로 고2 때 수술해서 한 시즌을 날리고 '3학년 때 성적을 못 내면 대학에 못 간다'라는 생각이 컸다. 그래서 성준이의 절박함을 너무도 잘 안다. 그런 마음에 내가 잘 공감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나도 지금까지 여러 작품에 출연했지만, 연기를 하면서 가장 몰입이 잘 된 건 윤성준이었다. 지금까지 연기한 캐릭터 중에 내 '인생캐'다.

-탐나던 캐릭터를 하게 된 만큼 준비도 열심히 했을 듯한데.
▶(촬영) 3개월 전부터 럭비 트레이닝을 받았는데 힘들고 어렵더라. 그래도 시간이 지나다 보니 시작 자세나 태클 폼이 나왔다. 잘하진 못해도 자연스럽게는 보여야 하지 않을까 싶어서 열심히 했다. 외형적인 부분도 신경을 안 쓸 수 없었다. 원래 체중이 72kg 정도인데 2~3개월 동안 식단과 운동을 해서 78kg까지 찌웠다. 벌크업을 위해 즉석밥 1개와 닭가슴살 2개를 하루에 4끼씩 먹었다. 그러다 카메라에 부하게 나와서 먹는 걸 줄이고 유산소 운동을 하며 73kg까지 다시 감량했다. 사실 아무리 해도 (럭비 선수들의) 타고난 피지컬과 10여 년의 노력은 따라갈 수 없더라. 특히 이번에 운동을 하면서 상체 웨이트의 중요성을 느꼈다. 태권도 선수 생활할 때 왜 안 했나 싶더라. 그래서 지금 태권도를 하는 친동생들에게도 상체 웨이트 운동을 하라고 하고, PT도 끊어줬다.(웃음)
-태권도 선수를 했던 것이 이번 작품을 할 때 도움이 됐나.
▶나도 체고 출신이다 보니 촬영 현장이 더 편했다. 촬영장에 가면 예전의 나로 돌아간 느낌이 강하게 들더라. 또 체고 출신이라 (제작진이) 내 의견도 많이 물어보시고 나도 의견을 종종 냈다. 구호 같은 것도 어떻게 하는지 물어보셔서, 나중에는 달라진 구호가 극에도 반영됐다.
<【N인터뷰】 ②에 계속>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뉴스1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