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가 미래에셋증권이 IMA 인가를 두고 경쟁 중이다. 사진은 한국투자증권(왼쪽)과 미래에셋증권 사옥. /사진=각사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종합금융투자계좌(IMA) 1호 사업자 자리를 놓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 다만 발행어음 한도가 포화 상태인 한국투자증권은 IMA 인가를 통한 자금 조달이 필수적이지만 미래에셋증권은 상대적으로 넉넉한 자본 여력을 바탕으로 점진적인 사업 확대가 가능하다는 평가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7월 금융위원회에 IMA 인가 신청서를 제출하고 결과를 기다리는 중이다. 금융당국은 서류 심사와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재무 건전성 평가 등을 거쳐 이르면 올해 4분기에 결론을 낼 전망이다.

IMA는 자기자본 8조원 이상 종합금융투자사업자에 허용되는 제도로 고객이 맡긴 자금을 증권사가 통합 운용해 발생한 수익을 나누는 구조다. 기존 발행어음의 레버리지 한도가 자기자본의 200%였다면 IMA는 300%로 확대된다. 증권사는 IMA를 통해 수조원대 추가 운용 여력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1호 사업자가 될 경우 시장 주도권을 잡는 선점 효과뿐 아니라 상징성을 통한 투자자 신뢰 확보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한국투자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1호 사업자 타이틀을 두고 경쟁 중인 가운데 시장에서는 발행어음 한도 여력에 따라 두 증권사의 입장 차이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투자증권은 올해 6월 말 기준 발행어음 잔고가 17조9725억원으로 자기자본(약 10조5000억원) 대비 한도치인 약 21조원의 85% 이상을 기록했다. 이에 기존 발행어음만으로는 운용 자산 확대에 한계가 뚜렷해 한국투자증권의 입장에서 IMA 인가를 통한 레버리지 확대는 필수적이라는 평가다.


반면 미래에셋증권은 발행어음 잔고가 7조4733억원으로 자기자본(약 10조원)의 200% 한도(20조 원)까지는 12조원 이상 여력이 있다. 이에 미래에셋증권에게 IMA 인가는 당장 자금 조달이 아닌 장기 성장을 위한 도구인 셈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달 26일 90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밝히며 IMA 인가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유상증자를 통해 자기자본을 확충하면 IMA인가 이후 레버리지 효과를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에 시장에서는 이번 증자를 사실상 IMA 사업을 위한 선제적 포석으로 해석한다.
금융당국은 이르면 올해 4분기 IMA 1호 사업자를 결정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진=뉴시스


IMA인가 후 두 증권사의 행보는 자본 여력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투자증권은 현재 발행어음 조달 여력이 사실상 바닥난 만큼 인가 직후부터 적극적으로 IMA를 통해 자본을 충원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반면 당장 제약이 크지 않은 미래에셋증권은 당장 IMA를 통해 자금을 투입하기 보다는 점진적으로 규모를 키워가는 안정적인 비즈니스 전략을 구사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이번 IMA 인가는 단순한 자금 조달 수단을 넘어 증권사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만큼 업계에선 파급효과를 기대한다. IMA는 발행어음보다 변동성이 크지만 고액자산가와 기관 자금 유입력이 높아 성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증권사들은 IMA를 통해 적극적인 자산 운용과 신사업 확대가 가능하다고 예상한다.

장영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한국투자증권은 이번 90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통해 IMA 사업에 대한 진출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며 "자기자본 확대를 통해 발행어음 운용 한도도 확대되므로 관련 이익의 증가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윤유동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래에셋증권은 IMA 기존 발행어음 잔고도 최대 한도의 약 39% 수준"이라며 "보수적으로 운용하고 있어 향후 IMA도 수익성보다는 선점효과에 중점을 둘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