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호우피해 복구위해 822억원 긴급 투입
침수 예방 근본대책 추진… 복구·지원·재발방지 총력
광주=정태관 기자
공유하기
![]() |
광주광역시가 올여름 기록적 폭우로 인한 피해 복구와 시민 생활 안정을 위해 총 822억원을 긴급 투입한다.
시는 추석 전까지 생활안정지원금을 지급해 신속히 민생을 회복시키고 장기적으로 침수 피해 예방 대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4일 시청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5개 자치구와 함께 마련한 '호우 피해 복구와 침수 예방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시민 안전과 생활 안정에 방점을 두고 있으며 피해 주민에 대한 직접 지원과 근본적인 재난 예방책 마련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이 핵심이다.
지난 7월과 8월 두 차례의 집중호우로 광주에서는 사망 2명, 공공·민간 시설 피해 1만5000여 건이 발생했다. 재산 피해 규모는 328억원에 달했으며 일시 대피자는 286세대 417명으로 집계됐다.
정부는 피해가 집중된 북구 전역과 광산구 일부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다.
이번 복구 사업비 822억원 중 국비 425억원, 시비 143억원, 구비 232억원, 기타 재원 22억원이 투입된다.
이 가운데 564억원은 도로·교량·하수도 등 공공시설 복구에, 258억원은 침수 피해 주민과 소상공인 지원에 쓰인다.
주택 침수 세대는 최대 900만원, 소상공인은 최대 1000만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재발 방지를 위해 3단계 침수 예방 대책도 병행한다. 1단계 긴급대책으로 △특별재난지역 광주상생카드 특별할인(53억4000만원) △신안교 옹벽 하부 배수구 설치와 상부 아크릴판 철거 등 신안교 일원 배수능력 개선(1억5000만원) △신안교 일원 배수펌프 설치(10억원) △침수 피해 이력이 있는 주택과 상가 등 1300곳에 차수판 설치(40억원) 등 4개 사업에 104억원을 투입힌다.
2단계 중기 대책으로 △신안교 일원 구조 개선(총 600억원) △우수저류시설 설치(854억원)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541억원) △하천 주변 저지대 배수펌프시설 설치(805억원) △하수도정비 중점관리사업(1549억원) 등 18개 사업 총 4349억원이 투입된다.
3단계 장기 대책으로 양동 복개상가와 서방천 복개도로의 하천 유수기능 회복을 위한 △복개하천 복원 사업(양동 복개상가 1조738억원, 서방천 복개도로 6000억원) △우수저류시설 등을 지속 추진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신속한 복구 지원과 함께 근본적인 재난예방시설을 구축해 '재난에 안전한 도시'를 만드는데 모든 행정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광주=정태관 기자
머니S 호남지사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