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DC로 한국 실리콘밸리 가능할까… 업계는 아직 '저울질'
안효건 기자
공유하기
![]() |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기업성장 집합투자기구'(BDC) 도입에 투자업계가 신중한 반응을 보인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 1호 공약인 BDC 도입 법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이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BDC는 펀드자산 총액 50% 이상을 비상장 벤처기업에 투자하는 만기 5년 이상 상장 공모 펀드다. 개인도 투자할 수 있고 ETF처럼 매매 가능하다.
운용 규모와 유연성에는 일부 제한이 있다. BDC는 펀드 투입금 증감이 불가한 폐쇄형으로 설정됐다. 가치평가가 어려운 비상장 기업에 대한 단타 매매가 잦게 발생하면 투자자 피해가 우려된다는 이유다. 분산 투자 장치도 마련했다. 펀드 편입 기업당 주식 10%, 대출과 주식 외 증권 10%까지만 투자할 수 있다. 국공채와 예금 등 안전자산에도 펀드자산 10% 이상을 투자해야 한다.
제도 도입 목소리를 내왔던 금융투자협회는 BDC를 통한 투자 촉진 효과가 상당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금투협 관계자는 "해외 사례와 직접 비교는 어려워도 한국 역시 38커뮤니케이션과 KOTC 등을 통해 상당한 수요가 확인되고 있다"며 "BDC를 한국거래소에 상장해 거래할 수 있게 했기 때문에 투자 규모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BDC 사업자로는 벤처캐피탈(VC)과 자산운용사 등이 지정됐는데 아직은 차분한 분위기다. 한 VC 업계 관계자는 "BDC가 직접 연관 있는 의제는 아니다"라며 "개인투자자들이 벤처투자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고 해도 포션이 얼마나 될지도 모르고 VC는 공모가 아니라 사모 위주로 투자를 진행한다"고 설명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사모투자를 하는 VC에 BDC 인가가 나더라도 공모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인가 조건도 충족해야 할 수 있다"며 "기관 투자자들이 많이 합류한 BDC를 시장에서 신뢰받는 대형 자산운용사들이 내놔야 개인투자자들도 안심하고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주축이 될 가능성이 높은 운용 업계도 입장이 신중하다. 성장 기업에 집중투자하는 한 운용사 관계자는 "아직 시행령이 확정돼 도입되지 않아 어떻게 역할하게 될지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먼저 제도가 더 구체화 돼 실제 적용되기 시작해야 BDC 관련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다"고 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제도 안착과 흥행에 대해 BDC 운용 성과와 세제 혜택 적용 등을 장기적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박용린 자본시장연구원 부원장은 "투자자 보호는 나름 두텁게 설계했기 때문에 그보다는 실제 운용 전략이 얼마나 성과를 내느냐가 투자자 참여에 더 중요한 요소"라며 "가장 강한 유인은 당연히 세제 혜택"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에서도 BDC가 1980년대 도입된 이후 2000년대부터 유용성을 인정받기 시작했고 스팩 활성화 사례 역시 제도 안착에 있어 적절한 시점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당장 흥행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안효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