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연체율 60% 육박... 전국 새마을금고 2곳 중 1곳 부실 위험
홍지인 기자
2,116
공유하기
![]() |
전국 새마을금고 절반 가까이가 금융당국이 정한 부실채권 관리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북·부산·경기·대구 등 주요 권역은 부실비율이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며 지역 금융 불안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5일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이 행정안전부 제출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5년 상반기 전국 1267개 새마을금고 가운데 623곳(49.2%)이 고정이하여신 비율 8%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전체 대출 중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 비중을 뜻하며, 8%를 넘으면 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진 것으로 간주된다.
권역별로는 전북이 15.3%로 가장 높았고 △부산 13.45% △경기 11.95% △대구 11.77% 순으로 전국 평균(10.73%)을 상회했다.
새마을금고는 자체적으로 고정이하여신 비율 9%를 감독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 기준을 넘어 '위험 금고'로 분류된 곳은 △전북 59곳 중 32곳(54.2%) △경기 109곳 중 48곳(44.0%) △부산 137곳 중 56곳(40.9%) △인천 51곳 중 16곳(31.4%)으로 나타났다.
연체 현황도 악화됐다. 전국 새마을금고의 연체액은 15조2124억원에 달했으며, 지역별로는 △경기 3조8000억원 △서울 2조8532억원 △대구 1조2981억원 순이었다. 전국 평균 연체율은 8.37%였지만, 부산(10.32%), 대구(9.76%), 전북(9.66%), 경기(9.48%), 인천(8.79%)은 모두 평균을 웃돌았다.
개별 금고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대구 A금고는 부실비율이 46.68%에 달했고, 대구 B금고는 연체율이 59.27%로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병도 의원은 "통합공시시스템 도입이 금고 정상화 첫 단추라면, 구조개선은 반드시 끼워야 할 두 번째 단추"라며 "정부·중앙회·개별 금고가 합심해 부실채권 정리에 속도를 내야 예금자 신뢰를 되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홍지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