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로비에서 금감원 내 금융소비자보호처 분리 및 공공기관 지정 등 최근 금융감독체계 조직 개편 반대 시위가 열리고 있는 가운데 출근하고 있다. /사진=뉴스1


정부의 조직 개편안에 금융감독원 직원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과 이세훈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이 내부 진화에 나섰으나 '인력 엑소더스'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감원 직원들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금감원 1층 로비에서 조직개편 철회를 요구하는 집회를 벌였다. 700명이 넘는 직원들이 검은색 상의를 입고 피켓을 든 채 약 50분간 구호를 외쳤다.

이 원장은 집회가 시작될 무렵 로비로 출근하며 직원들과 마주쳤으나 조직개편과 공공기관 지정 등에 대한 질문에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직원들은 금융소비자원 분리 철회와 공공기관 지정 철회, 내부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금감원 노조 측은 "금소원 분리는 금융소비자보호에 오히려 역행한다"며 "감독기구 독립성을 훼손하는 공공기관 지정은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찬진 원장을 향한 비판도 나왔다. 발언대에 올라선 한 직원은 이 원장을 향해 "이것이 최선이냐"며 "은행, 보험, 증권사 최고경영자(CEO)를 만날 때처럼 저희도 만나서 의견을 들어달라"고 요구했다.


금감원은 조직개편에 따른 인력 배분, 공공기관 지정으로 인한 지방이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직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금융소비자보호원(소보원)을 분리하면 소비자보호가 되레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날 이세훈 부원장이 직원들을 상대로 조직개편 관련 설명회를 했으나 전문직 이탈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 원장은 전날 임직원에게 보낸 메일에서 금감원, 금소원 간 인사 교류, 직원 처우 개선 등을 통해 걱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지난해말 기준 금감원 전체 직원(2172명) 중 47%가 전문인력이다. 공인회계사 468명, 변호사 232명, 보험계리사 47명 등으로 전문직 비율이 높다. 금감원은 관계기관과 원활한 소통, 업무 효율성을 위해 여의도에 자리하고 있으나 공공기관 지정에 세종시로 이전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금감원 노조 관계자는 "금감원이 공공기관으로 지정되면 정치적 입김과 외부 압력에 시달려 소비자가 아닌 정권의 이해관계에 흔들릴 수 있다"며 "감독 인적 자원 분산, 조직 내 갈등, 직원의 사기 저하, 금융회사의 검사 부담 가중, 행정 비용 증가 등 조직 쪼개기의 전형적 폐해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 노조는 이 원장에게 정식 면담을 요청하고 조직개편 관련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또한 당분간 시위를 계속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