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셀 마슈카 현대모비스 영업부문장 부사장이 지난 9일 'IAA 모빌리티 2025' 전시장에서 전동화, 전장 핵심 부품 등을 중심으로 한 유럽 시장 공략 전략을 발표하는 모습. /사진=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유럽에서 '글로벌 톱 3' 부품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재확인했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9일(현지시각) 'IAA 모빌리티 2025'가 열린 독일 뮌헨 메쎄 옐로우 스테이지에서 '모비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라는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발표자로 나선 악셀 마슈카 영업부문장 부사장은 최근 유럽 및 글로벌 시장에서 모비스가 거둔 성과와 모비스의 미래 기술이 글로벌 수주를 통해 현실화된 사례, 현재 준비 중인 미래 기술 전략을 소개했다.

마슈카 부사장은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Top 3로 도약하겠다는 우리의 비전은 명확하다"며 "시장을 앞서 나가며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우리의 행동방식이 그 추진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모비스는 ▲향상된 친환경 전동화 ▲최적화된 기능 통합 ▲차량 칵핏 내 사용자 경험 극대화 등을 선제적 연구개발과 제품 포트폴리오 구성의 세 가지 지향점으로 삼아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2009년부터 배터리시스템 사업을 시작, 현존하는 모든 친환경 차의 BSA 포트폴리오를 보유 중이다.


대표적으로 BMS(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통해 배터리 성능 저하를 유발하는 내부 화학 반응에 따른 고열을 감시하면서 동시에 듀얼 냉각 시스템으로 배터리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배터리셀 발화 시 소화약제를 자동 분사해 화재를 즉시 진압하는 기술도 보유 중이다.

하나의 제어기로 차의 모든 움직임을 제어하는 통합 솔루션도 구축하고 있다. 하드웨어 제한을 넘어 유연한 차량 아키텍처를 구현하고, 조향과 제동을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운용해 무선 업데이트로 성능을 업그레이드하는 등 SDV의 핵심 기반이 될 기술이다.


전장 기술 융합을 통한 'Vision in Motion'(시각적 혁신기술)에도 주목한다. 세계 최초로 홀로그래픽 광학 필름을 적용한 홀로그래픽 윈드쉴드 디스플레이(HWD)는 특수 광학기술을 통해 LED나 OLED 등 별도의 디스플레이 없이 차량의 모든 정보를 차 유리창(윈드쉴드)에 표시한다.

2021년 IAA에 처음 참가한 현대모비스는 전동화 기술 종합 플랫폼인 'EV 스케이트보드'를 통해 폭스바겐의 차세대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시스템을 수주했다. 지난해엔 연간 최대 36만대 양산이 가능한 스페인 BSA 공장을 착공했다.

차세대 통합 디지털 칵핏 'M.VICS'도 매년 업데이트 해오고 있으며 핵심 요소기술에 대한 글로벌 수주도 진행 중이다. 홀로그래픽 AR HUD(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경우 글로벌 완성차와 협업을 통해 시장 출시를 목전에 두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2033년까지 핵심부품 분야에서 글로벌 고객 비중을 4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