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루엠 소액주주들이 집단행동에 나섰는데 이들은 주주 권익 침해를 문제 삼으며 대통령실과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관계 당국에 탄원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사진은 솔루엠 조사 요청 탄원서 관련 이미지. /사진=독자 제공


솔루엠 소액주주들이 집단행동에 나섰다. 이들은 주주 권익 침해를 문제 삼으며 대통령실과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 등 관계 당국에 탄원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현재 온라인에서 서명운동을 벌이고 있으며 전체 주주의 약 5%가 참여한 것으로 전해진다. 주주연대는 트럭 시위까지 예고하며 본격적인 행동에 나설 태세여서 솔루엠의 대응에 이목이 쏠린다.


11일 솔루엠 주주연대 관계자는 "소액주주연대는 관련 기관에 솔루엠에 제기되는 의혹을 전달할 것"이라며 "철저한 감독을 통해 국내 증시가 다시 신뢰받길 기대하며 솔루엠이 '주주피해 1호기업'이 아니라 '주주상생 1호기업'이 되길 바란다"고 했다.

주주들은 1200억원 규모의 상환전환우선주(RCPS) 발행의 적법성 여부를 문제 삼고 있다. 솔루엠은 RCPS 발행으로 확보한 자금을 글로벌 생산 거점 확대와 신규 성장 동력 발굴에 활용하겠다고 밝혔지만 주주들은 이를 최대주주의 우호 지분을 늘리기 위한 편법적 자본 조달 행위로 보고 있다. 이들은 상법과 기존 판례에 비춰 위법 소지가 있으며 무효 소송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일부 주주들은 허위 공시와 내부자 거래 등 불공정 행위 의혹도 제기하며 공정위에 진정서를 냈다. 장남 전동욱 상무가 자신이 대표였던 치과 체인 '메디그라운드'를 솔루엠 자회사 솔루엠헬스케어에 무리하게 합병시켜 대주주 지위를 확보했다는 의혹, 솔루엠센서 주요 거래처 '디와이디테크놀로지'를 직접 설립·운영하며 자금 거래 과정에서 석연치 않은 정황이 있었다는 주장 등이 포함됐다.

또 솔루엠헬스케어는 최근 자외선 차단제 계열 화장품·헬스케어 브랜드 '휘티부스터'(Whity Booster)를 신규 사업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는데 휘티부스터 특허권자는 전동욱 상무 본인이다. 운영사 셀만 대표는 전 상무 배우자다. 솔루엠이 유상증자·대여금·투자금 명목으로 이미 수십억원을 지원한 솔루엠헬스케어의 신사업이 특수관계인 회사 지원으로 이어졌다는 의혹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오너 일가 이익을 위해 회사 자금을 사용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차남 전세욱 상무와 관련해서도 법인 설립·운영 의혹이 불거졌다. 전 상무는 지인 명의로 '와이스타이앤씨' 등을 설립하고 솔루엠 내부 각종 일감을 몰아줬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신사옥 인테리어, 사내 카페·레스토랑 운영, 미술관, 청소 용역 등 사내 업무 전반을 사실상 독점 수주해 비정상적인 자금 흐름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특히 와이스타이앤씨는 솔루엠 주요 매입처로 거래 비중이 2.9%에 달하며 전 상무의 배우자가 사내이사로 등재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같은 의혹이 불거지자 솔루엠은 지난 1일 반기보고서를 자진 정정해 와이스타씨엔에스, 와이스타에셋, 와이스타이앤씨 등을 특수관계자로 새로 기재했다.


당초 소액주주연대는 지난 8월31일까지 회사 측에 공개 해명과 개선책을 요구했으나 회사 측은 답변을 지난 3일로 미뤘고 이후에도 구체적 입장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주주연대 관계자는 "회사 측이 형식적인 답변만 내놓고 최근에는 외부 조사기관 검토를 이유로 국내 대형 로펌을 선임해 사건을 축소·은폐하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크다"며 "지난주 목요일 재질의를 보냈지만 아직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한때 3만800원까지 올랐던 솔루엠의 주가는 경영진에 대한 신뢰 하락으로 지지부진한 흐름을 이어가며 주주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주주연대는 서명운동에 그치지 않고 관계 부처에 탄원서를 제출해 조사를 요청할 방침이다.

한편 최근 몇 년 동안 국내 자본시장에서 소액주주와 대주주의 갈등은 반복돼 왔다. RCPS·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복잡한 자금조달 수단을 활용할 때 이해상충 문제가 빈번히 불거진다. 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이 유리한 조건으로 참여하고 그 부담은 일반 주주에게 전가되는 구조가 잦아서다.

공정위·금감원에 관련 민원은 꾸준히 접수되고 있지만 제도적 개선은 더디다는 관측이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기업 지배구조 투명성이 여전히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해 주주들의 집단행동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소액주주 운동은 앞으로 더 잦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