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구금' 7일 만에 귀국길… 한국 근로자 316명, 오후 3시쯤 인천 도착
강지원 기자
공유하기
![]() |
미국 조지아주 건설 현장에서 체포·구금됐던 한국인 근로자를 태운 전세기가 11일(현지시각) 오전 11시38분쯤 애틀랜타 하츠필드-잭슨 국제공항에서 인천국제공항으로 출발했다.
12일 뉴스1에 따르면 근로자들을 태운 전세기는 이날 오후 3~4시쯤 인천국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이들은 한국 정부 요구대로 수갑 등을 채우지 않은 상태로 버스 8대로 나눠타고 애틀랜타 국제공항까지 이동했다.
전세기에는 한국인 근로자 316명(남성 306명, 여성 10명)을 비롯해 14명(중국 10명, 일본 3명, 인도네시아 1명)의 외국인 등 총 330명의 근로자가 탑승했다. 이들의 귀국은 지난 4일 미 이민 당국의 불법 체류 및 고용 전격 단속으로 체포돼 포크스턴 구금시설 등에 억류된 지 7일 만이다.
지난 9일 애틀랜타에 도착해 석방 관련 실무 소통을 진행했던 박윤주 외교부 1차관도 전세기에 함께 탑승해 귀국한다.
앞서 지난 4일 미 이민 당국은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 엘라밸에 짓고 있는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전기차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 대한 불법 근로 단속을 벌여 한국인 근로자 317명을 포함한 475명을 체포 구금했다.
당초 한국인 근로자들은 하루 전인 지난 10일 석방돼 한국으로 향할 예정이었으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근로자들이 숙련공이라는 얘기를 전해 듣고, 미국에 계속 머물며 일할 지 의사를 확인하라고 지시하면서 귀국이 하루 늦춰졌다. 이에 조현 외교부 장관은 놀라고 지친 한국 근로자들이 우선 귀국한 뒤 재입국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외교부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대미 투자에 나선 한국 기업 근로자들의 부당한 구금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비자 카테고리를 만드는 것을 포함, 다양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한미 외교-국무부 워킹그룹 신설을 제안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