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저연차 공무원 지난해 퇴직률 24.1%로 하락
수원=남상인 기자
공유하기
![]() |
수원시 저연차 공무원의 퇴직률이 꾸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수원시에 따르면 민선 8기 출범 후 지속해 추진한 저연차 공무원 이탈 방지 정책이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2023년 38.7%에 달했던 수원시 저연차(입직 1~5년 차 기준) 공무원 퇴직률은 2024년 30.8%, 2025년 24.1%로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공무원 조직 전반에서 5년 이내 퇴직자가 증가하는 추세에서도 2025년 수원시 저연차 공무원 퇴직률은 2023년 대비 60% 수준으로 낮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저연차 공무원 퇴직률을 낮춘 비결은 '공감'이었다고 수원시는 설명했다.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해 공직만족도 실태조사를 하고, 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조직만족도 향상 실행계획을 추진했다.
또 신규 공직자 입문 교육을 하고, '멘토-멘티' 수당을 신설하는 등 소통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며 '소통 기반의 조직문화'를 정착시키고 있다. 정원 조정으로 승진 적체를 완화하고, 성과·데이터 기반으로 인사 제도를 개선한 것도 저연차 공직자들의 퇴직률을 낮췄다는 분석이다.
젊은 공무원들 눈높이에 맞춰 맞춤형 후생 복지 제도도 강화했다. 맞춤형 복지포인트는 20만 원 인상하고, 국외문화탐방(연 60명), 악기 교습비 지원(최대 30만원) 등 복지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단순히 혜택을 늘리는 것을 넘어 공직 생활을 하면서 성장할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를 마련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공정한 평가와 보상으로 공직을 '버티는 공간'이 아닌 '함께하고 싶은 조직'문화를 조성하고 있다"며, "미래지향적 조직 문화를 설계하는 지방 정부의 모델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수원=남상인 기자
머니S 경기취재본부 남상인 입니다. 경기도와 수원, 안양시 등 6개 지자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