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큐랩, 국내 첫 8인치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본격 생산
기장군서 본사·공장 준공… 공정 국산화·첨단기술 내재화 기반 마련
부산=김동기 기자
공유하기
![]() |
국내에서 처음으로 8인치 탄화규소(SiC) 기반 전력반도체 생산시설을 갖춘 아이큐랩 공장이 준공됐다.
아이큐랩은 17일 오전 기장군 동남권의과학산단에 있는 본사에서 박형준 부산시장과 김권제 아이큐랩 대표, 정종복 기장군수, 김복규 산업은행 수석부행장, 이채윤 리노공업 대표 등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준공식은 개회식과 추진 경과보고, 기념사, 축사, 준공 세리머니 순으로 진행됐다.
김권제 아이큐랩 대표는 개회사를 통해 "부산시의 전폭적인 지원과 특화단지 지정 덕분에 국내 최초 8인치 탄화규소 공장을 성공적으로 준공할 수 있었다"며 "아이큐랩을 부산을 대표하는 글로벌 전력반도체 기업으로 반드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아이큐랩 공장은 반도체 제품 자체 생산은 물론 위탁생산(파운드리)까지 가능한 제조설비로, 올해 시범 가동을 거쳐 내년부터 웨이퍼 기준 연간 3만장 규모로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아이큐랩은 2023년 10월 부산시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지난해 6월 본사와 생산시설 착공 이후 1년 만에 준공됐다. 부산시는 경기도 안산에 있던 본사의 부산 이전 결정에 따라 50억원 규모의 투자유치진흥기금 지원과 각종 인허가 절차를 신속히 추진해 '투자양해각서 체결-착공-준공'의 전 과정을 긴밀히 협력했다. 전체 사업 부지는 8750㎡(2650평), 건물 연면적은 7322㎡(2220평)이며 총사업비 1000억 원이 투입됐다.
이를 통해 국내 최초 8인치 탄화규소(SiC) 전력반도체 전 공정 국산화와 첨단기술 내재화 기반을 마련했다.
아이큐랩은 부산 이전을 계기로 지역 청년 채용과 인재 양성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부산·경남 지역 고등학교, 대학교와 산학협력을 확대해 졸업생 채용을 추진 중이며 총 200여 명 신규 채용을 통해 우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이외에도 사무동 1개 층(약 200평)을 전력반도체 분야 라이즈(RISE) 현장 캠퍼스로 조성해 지역인재 양성, 산학협력 강화 등 현장 중심의 산학 클러스터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박형준 시장은 "우수한 수도권 반도체 기업인 아이큐랩의 부산 이전과 생산시설 준공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현재 개최 중인 국제탄화규소학술대회와 발맞춰 부산이 글로벌 전력반도체 허브도시로 도약할 것을 확신한다"며 "부산 이전을 계기로 더욱 성장하는 모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수도권 반도체 기업 유치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부산=김동기 기자
머니s 영남지사 김동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