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가 최근 통신·금융사에서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태를 두고 조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관련 발언하는 김 총리. /사진=뉴시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최근 KT·롯데카드 등에서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고를 두고 "사업자의 사고 은폐·축소 의혹이 제기되는 것에 대해 문제가 없는지 밝히겠다"고 22일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통신사 및 금융사 해킹 사고 관련 긴급 현안 점검 회의'를 열고 "사고가 발생한 원인은 무엇인지, 또 사업자의 보안관리 체계상 미흡한 점은 없었는지 철저히 조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가 있다면 분명히 책임을 물어 국민께서 갖고 계신 모든 의혹을 낱낱이 해소하도록 하겠다"며 "대통령께서도 말씀하셨지만 보안 없이는 디지털 전환도, AI(인공지능) 강국도 사상누각"이라고 전했다.


이어 "당장 가시적인 이익이나 성과로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통신·금융보안은 통신사와 금융사의 가장 기본적인 사명이자 소비자 신뢰의 첫걸음"이라며 "정부는 유사한 해킹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통신·금융권 정보보호 체계를 전면적으로 재정비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또 "기업의 신고가 있어야만 조사가 가능했던 그간의 상황을 직권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조사 권한도 강화할 것"이라며 "보안 의무 위반에 대한 제재도 한층 강화해 책임을 확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과기정통부, 금융위원회, 개인정보위 등 모든 관계부처는 정보보안 대책 마련을 최우선으로 두고 챙겨주시길 바란다"며 "관계부처 장관께선 이번 사태의 수습과 해결에 있어 '해킹과의 전쟁에 임한다'라는 각오를 갖고 임해주시길 바란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행 비행기에 올랐다. 이에 당분간 김 총리가 롯데카드, KT 등 국내 대규모 해킹 사태와 관련한 문제 해결을 진두지휘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롯데카드 해킹 사태로 현재까지 총 297만명, 약 200GB의 회원 정보가 유출됐다. 이 중 28만명은 주민등록번호, 카드번호, 유효성 확인 코드(CVC) 번호 등 민감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제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는 지난 18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 컨벤션홀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5년간 총 1100억원 규모의 정보보호 관련 투자를 집행하겠다고 밝혔다. 또 관련 예산 비중을 업계 최고 수준인 15%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