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언론이 한학자 통일교 총재 구속에 대해 속보로 소식을 전하며 주목한 모습을 보였다. 사진은 청탁금지법과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한 총재가 지난 22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마친 후 법정을 나선 모습. /사진=뉴시스


일본 언론이 한학자 통일교 총재 구속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23일 일본 매체 지지통신은 이날 새벽 1시30분쯤 서울중앙지법 정재욱 영장전담 부장판사가 청탁금지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업무상 횡령, 증거인멸교사 혐의를 받는 한 총재에 대한 구속영장을 발부하자 같은날 새벽 3시27분쯤 속보로 소식을 전했다.


지지통신은 한 총재 구속 소식을 속보로 보도한 후 후속 보도로 한 총재 구속 혐의와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전했다.

일본 공영 NHK도 한 총재 구속 소식과 함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옛 통일교) 일본 본부 입장도 전했다. 통일교 일본 본부는 한 총재가 지난 17일 특검에 자진 출두하는 등 수사에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가 83세로 고령인 점, 심장 관련 시술로 요양이 필요하다는 점, 도망과 증거 인멸 우려가 없다는 점에 대해 "인정되지 않아 이런 일이 벌어진 것에 대해 유감"이라고 표명했다.


NHK는 종교 문제에 정통한 탁지일 부산장신대학교 교수를 인용해 "아무리 2인자가 뛰어나도 한 총재 없는 교단은 상상하기 어렵다"며 "교단 약체화(약화)로 연결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날 일본 매체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요미우리신문, 아사히신문, 마이니치신문, 산케이신문 등도 한 총재의 구속 사실을 새벽부터 보도했다.


통일교는 일본 내에서도 여러 논란이 된 바 있다. 2022년 7월 일본 거리에서 가두연설을 하던 아베 신조 전 총리가 총격받고 사망하면서 통일교 문제가 화두에 올랐다. 총격범은 자신의 어머니가 통일교에 거액 헌금을 기부해 가정이 엉망이 됐다고 증언했기 때문이다.

당시 일본 정부는 긴 조사 끝에 지난해 10월13일 도쿄지방재판소(지방법원)에 통일교가 조직적, 지속적이며 부당한 헌금을 받는 등 많은 신자에게 막대한 피해를 끼쳤다며 해산 명령을 청구했다. 지난 3월 일본 법원은 통일교에 대한 해산 명령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