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23일 서울 중구 로얄호텔에서 20대 건설업체 CEO 간담회를 열고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장동규 기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한 달여 만에 국내 20대 건설업체 최고경영자(CEO)들을 재소집해 "과징금과 영업정지가 중요한 게 아니라, 예방하는 것이 목표다"라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23일 오후 4시 서울 중구 명동 로얄호텔에서 시공능력 상위 20개 건설업체의 CEO들과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노사 노력과 정부 지원을 고려하지 않고 과거 수치로만 기업의 손실을 단정하는 것은 과도한 걱정"이라며 "과거를 기준으로 미래를 예단할 수는 없다"고 독려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DL이앤씨·GS건설·현대엔지니어링·포스코이앤씨·롯데건설 등 시공능력 상위 20대 기업의 CEO들이 참석했다.


김 장관은 "노동 안전대책의 최종 목적은 처벌이 아닌 예방에 있다"면서 "반복되거나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사고가 왜 근절되지 않는지 고민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안전을 '브랜드'로 표현하며 인식의 변화를 촉구했다. 그는 "안전이 대세가 되고 있다"면서 "K문화, K민주주의와 같이 대한민국이 치안과 안전으로 칭송받는 국가인데 왜 산업현장에서만 여전히 산재왕국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는가"라며 "산업현장 안전이 곧 기업 이미지이자 국가 경쟁력"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간담회에서는 건설현장의 추락사고에 대한 질타가 집중됐다. 건설현장 사망사고 가운데 추락사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정부는 올 연말까지 재래형 추락사고를 근절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김 장관은 "오늘의 자리가 계기가 되어 올 연말까지는 추락사고라는 말이 사라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