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저탄소경영 속도… '온실가스 감축' 목표 국제 승인
2030년까지 2019년 대비 46%가량 줄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
김창성 기자
공유하기
![]() |
현대모비스는 오는 2030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새롭게 설정하고 이를 글로벌 연합기구인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로부터 승인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SBTi는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등이 공동 설립한 글로벌 연합기구로 기업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파리기후변화협정에 기반해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21년 국내 자동차업계 최초로 SBTi에 가입한 바 있다.
현대모비스는 앞으로 5년 동안 실현 가능한 감축목표와 시행 방법 등을 제시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증명한 결과라고 자평했다.
현대모비스의 이 같은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방안은 국내와 해외 각국의 강화된 친환경 정책에 부합한다. 글로벌 수주를 뒷받침하는 또 하나의 필수 조건을 획득, 모빌리티 경쟁력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현대모비스는 2045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 단계로 2030년까지의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승인 받았다. 국내외 사업장은 물론 공급망의 감축 방안도 동시에 심사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현대모비스가 앞으로 5년 내 달성할 온실가스 감축분은 기준점인 지난 2019년 대비 46%로 절반 가까이 줄어들 전망이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검증을 통해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직·간접 온실가스 배출량(Scope 1·2)을 2030년까지 46% 감축한다는 중기 목표를 승인 받았다. 공급망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Scope 3)는 2030년까지 원단위 기준으로 55% 감축이 목표다.
SBTi 승인은 글로벌 수주 경쟁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최근 영국 전기차 보조금 지급 요건에 SBTi 검증 여부가 포함되면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도 SBTi 승인을 갖춘 부품사를 선호하는 추세다.
현대모비스는 구체적인 탄소중립 실천 전략으로 국내외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까지 65%, 2040년까지는 100% 전환한다는 목표를 수립한 바 있다.
이를 위해 국가별·사업장별로 별도의 타임라인을 수립해 RE100(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캠페인)을 실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대구와 울산공장, 영남물류센터 등 주요 사업장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구축하고 저탄소 에너지로의 전환을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해외에서는 인도 등 태양광 설치가 가능한 사업장에 관련 설비 설치를 확대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구매계약 체결과 인증서 구매 등 다각도로 재생 에너지 비중도 늘리고 있다. 현재 슬로바키아, 브라질, 터키사업장은 재생에너지로의 100% 전환을 이미 완료했다.
이밖에 공급망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서는 협력사의 온실가스 관리 체계화를 지원하고 저탄소 원소재 구매도 확대한다.
지난해에는 공급망 범위를 해외까지 확대해 국내외 협력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에 대한 제3자 검증을 완료하고 이를 공시했다. 이를 기반으로 배출 특성별 관리 방안도 수립해 효과적인 감축으로 이어지도록 추진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