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중국 저장대와 AI 인재 교류 '맞손'
강기정 시장, 마옌밍 총장과 인재교류 방안 논의
광주=정태관 기자
공유하기
![]() |
광주광역시가 중국 인공지능(AI) 혁신의 중심지 항저우와의 협력에 이어 인재양성의 거점인 저장대학교와 손잡으며 국제 AI 네트워크 강화에 나섰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25일(현지시간) 저장대학교를 방문해 마옌밍 총장과 만나 광주지역 대학과의 교류·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양측은 AI 인재 교류 확대를 중심으로 공동 발전을 모색하기로 합의했다.
저장대학교는 중국판 아이비리그라 불리는 'C9 리그' 소속 명문대로 창업지원 시스템을 통해 '중국판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항저우의 혁신 생태계를 주도해왔다. 특히 딥시크, 딥로보틱스, 메니코어테크 등 중국 '육소룡' 기업 창업자를 배출하며 글로벌 AI 창업 인재의 요람으로 자리매김했다.
강 시장은 저장대의 전교생 AI 교육과정과 정부 지원 기반의 창업 친화적 환경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AI 산업의 성공은 결국 인재에 달려있다"며 대학 중심의 창업 생태계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 문화·과학 등 다방면에서의 교류를 통해 양 도시 간 융합적 성과 창출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마옌밍 총장은 "저장대는 이미 300여 명의 한국 유학생이 재학 중일 만큼 한국과 깊은 인연을 맺고 있다"며 "광주가 AI 중심도시로 발전하는 만큼 더 많은 학생들이 교류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화답했다.
양측의 인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8월 광주시는 저장대 교수진과 학생들을 초청해 '한·중 청년포럼'을 개최해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전남대·조선대·호남대 등 지역 대학생들과 AI 관련 기업들이 참여해 활발한 기술 교류와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광주시는 1단계 AI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 영재고·사관학교, 주요 대학의 융합학와 광주과학기술원 인공지능대학원까지 이어지는 체계적 인재 양성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1만1000여 명의 AI 전문 인력을 배출하며 국내 대표 AI 교육 거점으로 자리잡고 있다.
향후 광주시는 저장대와의 협력을 확대해 세계적 수준의 AI 인재 양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나아가 이들이 지역에 정착해 창업·성장을 이어가는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역 대학에 '교양 필수 AI 과목'을 신설하는 등 교육 전반에 AI 융합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광주=정태관 기자
머니S 호남지사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