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내 카드 결제' 문제없을까
주요 금융사들 긴급 대응체계 가동… 고객 불편 최소화에 초점
김창성 기자
공유하기
![]()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기관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주요 금융사들도 고객 불편 최소화를 위한 긴급 대응 체계 가동에 나섰다.
28일 신한금융그룹에 따르면 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정부기관 서비스 중단 사태와 관련해 그룹 위기대응 체계를 즉시 가동하고 은행 등 주요 그룹사와 대응방안을 논의 중이다.
전날에는 그룹 리스크 부문장(CRO) 주재 회의를 열고 은행·카드·증권·저축은행 등 주요 그룹사와 함께 대응 상황 점검 체계를 구축했다.
주민등록증 관련 비대면 실명인증과 신분증 진위확인 등 정부기관 중단 업무 내용을 주요 그룹사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지도 했다.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대체 인증 수단·이용 서비스 현황도 안내하고 있다.
29일에는 각 그룹사의 영업점 업무 개시 이후 영업점과 콜센터에서 화재 사고로 처리하지 못한 고객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사전 응대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신한금융은 일부 금융거래 프로세스 장애로 전체 업무가 중단되는 상황을 예방하기 위해 전산 장애 발생 시 신속하게 시스템을 분리·대체 운영할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KB금융그룹도 이번 화재에 따른 본인인증, 공공마이데이터 등 장애와 관련해 실시간 현황을 점검 중이다. 지난 26일 사태 이후 양종희 KB금융 회장을 포함한 비대면 비상대응회의체를 가동 중이다.
은행·증권·손해보험·카드·캐피탈 등 각 계열사들은 IT(정보기술)부문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라 전산센터, 인프라, 금융서비스를 점검했다.
하나금융그룹도 지난 27일 그룹 CRO 주재 회의를 소집해 그룹의 전 관계사의 영향도를 파악하고 금융 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대응 체계 구축에 나섰다.
그룹 ICT(정보통신기술) 부문에서는 이번 화재로 손님 불편이 예상되는 항목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요 전산 체크 리스트를 선정, 하나은행·하나증권·하나카드 등 각 관계사에 배포했다.
우리금융그룹도 화재 직후 그룹 위기대응협의회를 중심으로 매뉴얼에 따라 시스템 영향도를 점검하고 고객 안내 및 대체 수단 등을 마련했다.
우리금융그룹은 전산 복구가 지연될 경우에 대비해 영업점 중심의 보완 절차와 긴급 전산 개발 준비를 마쳤다. 29일 영업 개시 전에도 회의를 통해 고객 서비스 현황을 다시 점검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