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수준 낮을수록 비만 더 많고 치료 덜 받아… "진료 사각지대"
강한빛 기자
2,817
공유하기
![]() |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비만 유병률은 높지만 실제로 병의원을 찾는 진료 인원은 고소득자보다 적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 의원이 질병관리청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받은 자료에 따르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비만 발병률은 낮았다.
2023년 기준 소득 하위 20%의 비만 발병률은 38%였고 상위 20%는 31%로, 양 계층 간 7%포인트 차이를 보였다. 비만의 대표 지표인 허리둘레 역시 저소득층의 기준 이상 비율이 고소득층보다 4.9% 높았다.
하지만 저소득층일수록 비만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는 인원은 적었다. 지난해 소득분위별 비만 진료 인원을 보면 1분위는 1243명, 10분위는 3425명으로 2.76배 차이가 났다. 1인당 진료비는 1분위는 135.6만원, 10분위는 93.7만원으로 1분위 국민 진료비가 10분위보다 1.45배에 달했다.
비만이 주원인인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에서도 격차가 나타났다. 지난해 상·하위 10% 진료 인원 차이는 고혈압이 2.05배, 당뇨병은 2.01배, 고지혈증은 2.43배다. 상·하위 20%로 확대할 경우 고혈압은 상위 20%가 하위 20%보다 1.84배, 당뇨병은 1.81배, 고지혈증은 2.08배 많았다.
서 의원은 "매년 증가하는 성인병 진료 인원 증가로 인해 공단부담금과 개인부담금 등 사회적 비용이 점점 커지는 상황"이라며 "소득분위에 따라 진료 인원이 극명하게 차이 나는 것은 소득에 따라 진료받지 못한 사각지대가 있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지적했다.
이어 "저소득층의 높은 비만 발병률을 낮추지 못하고 합병증으로 이어지게 방치한다면 가난이 더 큰 가난을 야기하는 악순환이 될 것"이라며 "정부는 비용으로 진료를 고민하는 인원을 발굴하고 발병률 저하를 통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한빛 기자
머니S 강한빛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