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테이블코인 하루 거래량 급감… 지난해 1조→ 올해 2000억
한국은행 "가상자산 시장 둔화로 증가세 주춤"
이동영 기자
공유하기
![]() |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가 2024년 대비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6월 하루 평균 거래 대금은 2000억원대로 지난해 12월 1조원 수준 대비 4분의1도 되지 않았다.
10일 국회입법조사처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6월 기준 국내 스테이블코인 거래 대금은 하루 평균 2380억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국은행이 국내 5대 가상자산거래소인 업비트, 빗썸, 코빗, 코인원, 고팍스에서 거래된 달러화 스테이블코인(USDT, USDC, USDS)의 거래대금을 집계한 결과다.
국내 스테이블코인의 하루 평균 거래 대금은 2024년 7월에는 1741억원이었으나 점차 늘며 같은해 ▲10월 3041억원 ▲11월 6381억원 ▲12월 1조229억원을 기록하며 연말에는 1조원대를 넘겼다.
2025년 들어 증가세가 꺾였다. 1월에 9238억원을 기록한 거래 대금은 2월에는 8794억원을 기록한 후 크게 줄었고 이후 3월 3924억원 ▲4월 3049억원 ▲5월 3249억원 등 3000억원대를 오르내리다 6월에는 2380억원까지 떨어졌다.
이에 대해 한국은행은 9월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서 "가상자산 시장이 둔화돼 국내 스테이블코인 증가세가 최근 주춤했기 때문"이라 분석했다.
실제로 스테이블코인뿐만 아니라 가상자산 거래 대금 자체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기준 국내 가상자산 거래 대금은 6월에 3조2000억원을 기록해 2024년 12월의 17조1000억원 대비 크게 줄었다.
가상자산 보유 금액 역시 6월 말 기준 89조2000억원으로 1월 말 최고치인 121조8000억원 대비 감소했다.
블록체인에서 익명으로 거래되는 스테이블코인은 탈중앙화된 거래소나 P2P(개인 거래) 등 거래 채널이 다양해 모두 집계하긴 어렵다. 이에 학계는 국제 스테이블코인의 지역별 거래량을 추정하려고 시도한다.
마르코 로이터 IMF 이코노미스트는 7월 보고서에서 AI(인공지능)와 머신러닝을 결합해 국제 스테이블코인의 흐름이 지역별로 어떻게 분포하는지 추정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북미 스테이블코인의 거래량은 4450억달러(약 632조335억원)로 가장 많았다. 이어 ▲아시아·태평양 4260억달러(약 605조478억원) ▲유럽 3340억달러(약 474조3800억원) ▲아프리카·중동 2000억달러(약 284조1000억원)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1560억달러(약 221조6000억원)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